•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1.8℃
  • 맑음서울 16.1℃
  • 맑음충주 14.1℃
  • 구름많음서산 13.8℃
  • 맑음청주 15.0℃
  • 맑음대전 16.0℃
  • 맑음추풍령 12.7℃
  • 구름조금대구 14.0℃
  • 구름조금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15.4℃
  • 구름조금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12.0℃
  • 구름많음홍성(예) 14.5℃
  • 흐림제주 12.4℃
  • 구름많음고산 10.6℃
  • 구름조금강화 12.8℃
  • 구름조금제천 14.1℃
  • 맑음보은 14.0℃
  • 맑음천안 14.3℃
  • 구름조금보령 12.2℃
  • 구름조금부여 15.3℃
  • 구름많음금산 15.3℃
  • 구름많음강진군 15.0℃
  • 맑음경주시 13.1℃
  • 구름조금거제 14.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말 뿐인 '오송역 활성화' - 역세권 개발 수년째 계획만

민간투자 없어 애타는 道
8천억대 사업비 부담으로 작용
계획안 수립 이후 '제자리 걸음'

  • 웹출고시간2012.01.17 20:21:59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오송역 개통 후 1년이 지났지만, 역세권 개발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생명과학단지, 첨복단지 등 오송 개발은 척척 진행되고 있지만, 관문 역할을 하는 오송역의 역세권 개발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밤마다 칠흑으로 변하는 오송역 주변. 오송역사만 환한 불을 키고 있다. 주차장 옆의 낡은 집들은 전형적인 시골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전국 유일의 경부·호남선 분기역이란 명색이 무색할 만큼의 주변 모습이다.

역세권 개발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충북도는 지난 2005년 오송역 유치 후 인근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생명과학단지, 제2생명과학단지와 묶어 오송역세권 일대를 세계 최고 수준의 '오송바이오밸리'로 만든다는 구상을 했다.

하지만 지난 2010년 8월 역세권 개발을 따로 분리했다. 수천억대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사업비 탓에 제2생명과학단지와 역세권 개발을 함께 담당할 시행자가 나오지 않아서다.

그렇게 정해진 역세권 규모는 청원군 강외면 오송리 일원 162만㎡. 개발 방식은 민자 유치로 정했다. 상업·업무·문화·교통·바이오·관광 시설 등이 계획됐다. 정주 여건을 높이기 위한 병원, 쇼핑센터 등도 청사진에 포함됐다.

도는 이듬해인 2011년 4월 청원군에 오송 역세권 도시개발구역 지정절차 이행 통보를 했다. 도시개발구역 지정·고시가 돼야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해 12월30일 도시개발구역이 지정·고시됐다.

수정 계획안 수립 이후 도시개발구역 지정·고시까지는 1년4개월이나 걸렸다. 사업지구 80%를 차지하는 농촌진흥지역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어 이를 해제하는 과정이 늦어졌다.

도는 이 기간 민자 유치활동을 벌였다. 2010년 12월, 현대건설을 비롯한 19개 건설사를 방문했다. 2011년 5월엔 서울의 한 건설회관에서 오송 역세권 개발사업 설명회를 열었다. 국내 대형건설사 및 재무투자자 등 71개 기업, 133명이 참석했다.

하지만 성과는 없었다. 8천123억원(보상비 4천995억원, 조성비 1천330억원, 기타 1천798억원)의 매머드급 사업비는 민간 건설사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도는 지난달 도시개발구역 지정·고시가 된 만큼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2013년 상반기와 2014년 상반기까지 각각 개발계획과 실시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착공과 완공 시점은 각각 2014년과 2020년. 하지만 민간 투자자가 없으면 모두 물거품이 된다. 사업비 부담 때문에 국·도비 사업으로의 변경은 검토되지 않고 있다. 도는 최후의 수단으로 일본 등 외국자본 유치를 고심 중이다.

땅값 상승도 문제다. 사업자 선정이 늦어질수록 땅값은 상승, 토지보상비용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오송역 역세권 개발지구 내 땅값은 2009년 -1.3%가량 떨어졌다가 2010년 4.6%나 급증했다. 2011년에도 0.2% 상승했다.

인근 부동산중개업자는 "현재 오송역 주변 밭은 43만원~100만원, 논은 23만원~96만원, 대지는 150만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실제 보상비는 공시지가보다 더 많이 책정되기 때문에 역세권 토지보상비는 점점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늦어지는 역세권 개발에 속을 태우는 건 주민들도 마찬가지. 이모(48·청원군 오송읍)씨는 "지난 6년 동안 개발제한이 되면서 재산권 행사를 마음대로 하지 못했는데 또 몇 년을 기다려야 하느냐"며 "서둘러 개발을 진행해 달라"고 하소연했다.

/ 임장규·김경아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