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7.9℃
  • 흐림강릉 9.4℃
  • 서울 8.9℃
  • 흐림충주 9.5℃
  • 흐림서산 9.7℃
  • 청주 9.6℃
  • 대전 9.4℃
  • 흐림추풍령 9.6℃
  • 대구 10.1℃
  • 울산 12.9℃
  • 광주 10.4℃
  • 부산 14.3℃
  • 흐림고창 10.7℃
  • 홍성(예) 10.3℃
  • 제주 13.0℃
  • 흐림고산 12.3℃
  • 흐림강화 8.2℃
  • 흐림제천 8.9℃
  • 흐림보은 9.5℃
  • 흐림천안 9.7℃
  • 흐림보령 10.2℃
  • 흐림부여 10.1℃
  • 흐림금산 10.2℃
  • 흐림강진군 11.4℃
  • 흐림경주시 10.3℃
  • 흐림거제 14.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스마트폰' 전성시대… 충북 어디까지 왔나 - 비지니스측면의 문제

콘텐츠 만들어도 수익성 낮아 '빈곤의 악순환'
제작·유통 환경 등 구조적 한계…콘텐츠 시장 정체
모바일 오픈마켓 정착 위해 요금구조 등 개선 절실
통신사-개발자, 수익 배분 문제 상생의 길 찾아야

  • 웹출고시간2010.07.26 19:33:09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IT 전문가들은 '모바일 시장 활성화로 인해 콘텐츠 업계에 10년 만에 기회가 찾아왔다'며 입을 모으고 있다. 10 년전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인터넷 열풍으로 국내 콘텐츠 업계는 장밋빛 미래를 전망했지만, 대형 포털사 등을 제외한 대다수의 관련 기업들은 10년을 허덕였다.지난 해 말부터 불어온 스마트폰 열풍은 모바일 콘텐츠 시장에 훈풍으로 작용할 수 있을까.

◇정체되는 모바일 콘텐츠 시장=국내 모바일 콘텐츠 시장은 지난 2006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정보이용료와 데이터통화료를 합한 국내 모바일 콘텐츠 시장 규모는 2006년 2조972억원에서 2007년 2조584억원, 2008년 1조8천972억원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다.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 트래픽 양은 세계적으로 2007년 14.9%, 2008년 23%의 성장률을 보인 반면 2008년 국내 데이터시장 규모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데이터 매출 비중(17.4%) 또한 일본(32.5%)의 절반에 불과하다.

업계 전문가들은 국내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정체 이유로 △플랫폼 정책의 한계 △제작·유통 환경의 한계 △이용자 요금부담을 꼽고 있다. 한마디로 모바일 생태계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콘텐츠 제작사가 적정 수익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콘텐츠 사업자의 정보이용료 수익 배분비율도 여전히 골칫거리다.

◇대안으로 등장한 오픈마켓= 2008년 애플의 앱스토어의 등장으로 주목받게 된 모바일 오픈마켓은 차세대 모바일 콘텐츠 유통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7월 현재 약 20만개의 앱이 등록된 애플 앱스토어는 개발자와 3대7로 판매 수익을 배분한다. 20mb가 넘는 대용량 앱은 'WIF(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접속으로만 다운로드가 가능해 이용자의 요금 부담감을 없앴다.

국내 이동통신사도 모바일 오픈마켓에 힘을 쏟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9월 T스토어를 국내 최초로 개시했으며 KT도 지난해 12월 쇼앱스토어를 오픈했다. 포털사업자, 휴대폰 제조사 또한 모바일 오픈마켓을 운영하는 등 모바일 콘텐츠 활성화에 동참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모바일 오픈마켓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인프라 강화, 전문인력 양성, 요금구조 개선 등의 개선사항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한다.

◇상생 통해 살길 찾아야=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달 국내 무선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 모바일 앱 개발 지원센터(SMAC, Smart Mobile Application Center)' 구축 협약(MOU)을 무선인터넷 관련 13개 기관과 체결하고, 민·관 협력 앱개발 지원센터를 연다고 밝혔다.

아울러 방통위는 오는 9월까는지 이동통신사와 콘텐츠 제작사간 금지행위 유형 및 기준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는 그동안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수익 배분과 사업진행에 있어서 이동통신사들이 우월적 지위 남용을 막기 위함이다.

아이폰 앱 개발자 장영희씨가 자신이 제작한 '청주버스'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구현해 보이고 있다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MOIBA)도 모바일 콘텐츠 시장 활성화와 업체간 상생 도모를 위한 가칭 '통합콘텐츠협회'를 오는 8월 중순 공식 출범키로 했다.

이통 3사는 통합 앱스토어를 구축해 내년 6월에 공식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하지만 자금·인력에 있어 절대적 열세에 놓인 지역 개발업체들을 위한 정부의 정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관련업체 한 관계자는 "영세한 지역 개발업체들을 위한 개발자금 지원과 지역특화 모바일 콘텐츠 공모전 확대, 앱 상용화를 위한 교육 및 장비 지원 등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야 한다"며 "이용자의 데이터요금 부담을 완화를 위한 수도권 수준의 와이파이(WiFi) 망을 지역에 집중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김지훈기자 juku1@naver.com

"소통할 수 없는 지역 개발환경 절감"

아이폰 앱 '청주버스' 개발자 장영희 씨

"청주 아이폰 이용자들의 편의와 개인적인 만족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었지만 소통할 수 없는 지역 모바일 개발환경을 절감했습니다"

최근 애플 앱스토어에서 청주 아이폰 이용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청주버스'의 제작자 장영희(충북대학교 정보산업협동과정 석사과정·29)씨.

그는 청주버스를 개발하면서 느낀점을 이같이 설명했다.

장씨가 개발한 '청주버스'는 청주시의 실시간 버스 배차 현황과 노선을 확인할 수 있는 아이폰용 애플리케이션.

지난 6월 말 앱스토어에 등록했고 현재까지 약 800여명이 넘는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다.

그는 '''청주시외버스' 앱도 개발하고 싶었지만 방대한 데이터 양을 혼자 감당할 수 없었다"며 "해당업체나 지자체에 도움을 요청하고 싶었지만 마땅한 소통창구를 몰라 중도에 포기했다"고 지역 개발자로서의 한계를 토로했다.

장씨는 지역 콘텐츠 부재원인에 대해 해당 지자체의 모바일 정책 부재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그로 인해 지역에는 경쟁·소통할 수 없는 개발환경이 조성되고 결국 개발자들은 수도권으로 쏠리게 돼 지역 내 IT 인력난으로 이어지고 만다는 것.

그는 "급변하는 IT 환경 속에서 수도권과 지방의 콘텐츠 개발환경은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며 "'청주버스'에 쓰인 직지처럼 충북의 랜드마크들이 모바일 오픈마켓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앱 개발 여건이 조성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