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1℃
  • 구름많음강릉 11.3℃
  • 흐림서울 9.5℃
  • 흐림충주 11.9℃
  • 구름조금서산 7.7℃
  • 흐림청주 12.8℃
  • 흐림대전 12.5℃
  • 흐림추풍령 11.9℃
  • 흐림대구 15.8℃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11.1℃
  • 맑음부산 12.6℃
  • 흐림고창 9.3℃
  • 홍성(예) 7.2℃
  • 맑음제주 15.4℃
  • 맑음고산 13.2℃
  • 구름많음강화 8.8℃
  • 흐림제천 12.2℃
  • 흐림보은 11.7℃
  • 흐림천안 11.6℃
  • 구름많음보령 7.6℃
  • 흐림부여 9.5℃
  • 흐림금산 11.6℃
  • 흐림강진군 11.5℃
  • 맑음경주시 13.8℃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현악기 제작 보유자로 인정

  • 웹출고시간2023.12.03 12:59:26
  • 최종수정2023.12.03 12:59:26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현악기 제작 보유자로 인정받은 조준석 씨.

ⓒ 영동군
[충북일보] 영동군 심천면에서 국악기 공방을 운영하는 조준석 씨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다.

군에 따르면 조 씨는 최근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현악기 제작 보유자로 인정됐다.

조 씨는 악기장 현악기 제작 보유자 인정을 위해 지난해 문화재청에 공모해 서면 심사를 거쳤다.

문화재정은 지난 4월 현장 조사를 통해 현악기 제작의 핵심 기능인 울림통 제작, 줄 꼬기, 줄 걸기 등의 조 씨의 기량을 확인했다. 완성한 악기를 국악인의 연주를 통해 그 소리의 우수성도 따졌다.

조 씨는 1977년 형 조대석 씨가 운영하는 공방에서 국악기 제작에 입문했다. 전승 계보를 보면 당숙 조정삼 씨가 국가무형문화재인 고 김광주 선생을 사사하고, 그의 기능은 조대석 씨로 전해졌다.

조 씨는 형에게 10여 년간 가야금 등 국악기 제작 기술을 습득하고 1985년 독립해 광주광역시에서 남도국악사를 운영한 바 있다.

이후 2001년 난계국악기제작촌으로 공방을 옮기고 고악기 복원, 가야금 개량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2009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다.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을 가진 사람으로 북 제작, 현악기 제작, 편종·편경 제작 등 3개 핵심 기·예능으로 나뉜다.

조 씨는 "국악 저변 확대와 2025 영동 세계 국악 엑스포 성공 개최를 위해 힘을 보태고 싶다"고 했다. 영동 / 김기준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