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6.4℃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6.8℃
  • 맑음충주 17.2℃
  • 맑음서산 15.1℃
  • 맑음청주 17.5℃
  • 맑음대전 18.6℃
  • 맑음추풍령 15.8℃
  • 맑음대구 16.9℃
  • 맑음울산 12.7℃
  • 구름조금광주 18.7℃
  • 구름조금부산 15.1℃
  • 맑음고창 13.3℃
  • 맑음홍성(예) 15.4℃
  • 구름조금제주 13.9℃
  • 구름많음고산 12.0℃
  • 맑음강화 12.2℃
  • 맑음제천 15.7℃
  • 맑음보은 16.4℃
  • 맑음천안 16.2℃
  • 맑음보령 13.7℃
  • 맑음부여 16.5℃
  • 구름조금금산 17.4℃
  • 맑음강진군 16.9℃
  • 맑음경주시 14.8℃
  • 구름조금거제 13.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관광도시 제천, 도시재생으로 진화

낙후된 지역 재생, 도심 내 콘텐츠 집중 개발
도심에서 머무르는 관광으로 변화 주도

  • 웹출고시간2025.03.30 13:26:28
  • 최종수정2025.03.30 13:26:52
클릭하면 확대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제천시가 2014년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으로 도심 곳곳에 개설한 게스트하우스.

[충북일보] 제천시가 2014년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을 시작으로 영천동, 화산동, 역세권, 서부동을 비롯해 2023년 의림동, 청전동 등 다양한 지역에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지방 중소도시에서 이토록 많은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보기가 드문 현상이기도 하다.

그만큼 제천시는 도시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도심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우선 외곽 중심으로 조성된 관광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심권 변화에 포커스를 맞췄다.

여러 테마를 가진 도시재생 사업이 있으나 그중 원도심을 필두로 도심 곳곳에 개설한 게스트하우스가 대표적이다.

도심 속 숙박 공간이 부족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한 게스트하우스의 완공은 제천이 체류형 관광지로 변화하는 초석이 됐다.

도심의 부족한 체류 시설을 도시재생과 연계한 결과 도심 관광의 핵심 요소로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엽연초하우스의 월평균 이용객은 1천300여 명, 칙칙폭폭999는 월평균 1천여 명이 이용했으며 이를 통해 매달 2천여 명이 넘는 인원이 제천을 방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새롭게 조성된 도시재생 거점시설을 기반으로 한 도심 유동 인구의 증가를 의미한다.

도시재생 사업은 부족했던 숙박시설을 보완하는 역할과 더불어 도심 관광정책으로 확장돼 가스트로투어 프로그램 등 기존 도시 자산과 연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특히 관광과 연계한 도시재생의 방향성은 화산동과 역세권, 의림동 사업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의림동의 미디어아트 전시관, 화산동의 디지털 스포츠 체험센터, 역세권의 상생 상가 조성 사업 등은 도심 내 관광 콘텐츠를 확장할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낙후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추진하는 도시재생 사업이지만 지역의 부족한 점을 채워주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한 결과 도심이 변화하는 모습이 감지되고 있다.

향후 역세권, 서부동, 의림동, 청전동A 등의 사업이 완공되면 도심 변화의 속도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김창규 제천시장은 "역동적인 도시 만들기를 위한 도시재생 사업들을 지속해서 추진해 제천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활력이 넘치는 도시로 기억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제천시가 도시재생을 통해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며 "낙후된 지역을 재생하고 도심 내 콘텐츠를 집중 개발해 다양한 맛과 멋을 느끼며 머물다 갈 수 있는 도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제천 / 이형수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