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용승 서울대학교 교수가 24일 충북대학교 대학본부 대강의실에서 열린 '전공자율선택제 학생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워크숍'에서 서울대 전공설계지원센터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충북일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충북 관광산업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연간 관광객 4천만 명 돌파를 눈앞에 뒀다. 24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충북을 방문한 관광객 수는 3천898만 명으로 2023년 3천155만 명보다 23.5%(743만 명)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제천시가 1천113만 명으로 가장 많다. 단양군 919만 명, 충주시 424만 명, 청주시 392만 명 등의 순이다. 진천군은 농다리 관광객이 급증하며 2023년 105만 명에서 277만 명으로 164%의 성장세를 보였다.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은 관광지는 단양 도담상봉(240만 명)이다. 진천 농다리(165만 명), 단양 구담봉(130만 명)이 뒤를 이었다. 단양 다누리아쿠아리움은 도내 최다 외국인 방문지(1만3천 명)로 나타났다. 옛 대통령별장 청남대는 지난해 76만여 명이 방문해 누적 관람객 1천500만 명을 넘어서며 꾸준한 인기를 입증했다. 지난해 5월 개장한 괴산 충북아쿠아리움은 연말까지 26만여 명이 찾아 충북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상했다. 도는 올해 이 같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관광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도 지정 축제를 육성하고
[충북일보]경기침체와 고물가 영향으로 설 선물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충북도내 유통업계에 따르면 백화점의 경우 물가 상승 영향으로 10만 원 미만 선물 물량은 지난해 설 보다 5%가량 줄어든 반면, 대형마트들은 5만 원 미만 선물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보이는 백화점 선물세트는 물가 상승 영향으로 구성 상품들의 시세가 전반적으로 오른 영향이 크다. 설 성수품인 배 가격은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다. 6일 청주지역 기준 배(신고) 평균 소매 가격은 10개에 4만2천900원 이다. 지난해 보다 27.37% 비싸다. 지난해 배 생산량 감소와 저장단계에서 고온 피해로 인해 유통 가능 물량이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에 여파를 미쳤다. 이에 기존 사과·배에 더해 샤인머스캣이나 애플망고를 섞은 혼합세트가 증가했다. 명절 주요 선물 상품인 한우의 경우 포장 중량을 줄여 가격 부담을 낮추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대형마트는 '가성비'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고 있다. 지난해 설 보다 '5만 원 미만' 상품의 비중을 확대하거나, 커피·차 세트, 김·양말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선물 세트가 인기를 끈다. '1
[충북일보] 청주의 한 한식당에서 도로를 이탈한 SUV 차량이 가게로 돌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충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 오후 6시 12분께 강서동의 A식당으로 SUV차량이 들이닥쳤다. 이 차량은 입구를 부수고 건물 내부까지 밀고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다행히 당시 해당 방향 테이블에 앉은 손님이 없어 사상자는 없었다. 해당 한식당의 업주는 "차가 밀고 들어온 경로에 있던 테이블은 예약손님이 아직 도착하기 전이라 정말 하늘이 도운 일이고 사람이 안 다친 것이 천만다행"이라며 "갑자기 발생한 사고로 가게 안으로 차가 들어왔고 직원들 모두 놀라 청심환을 먹었다"고 말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와 재산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 임선희기자
[충북일보]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2025년 을사년(乙巳年)을 제2의 도약의 해로 삼았다. 주요 현안은 결실을 맺도록 차질 없이 추진하고 혁신 사업 모델을 발굴하는 데 힘쓴다.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통해 지역경제 성장을 이끄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경자구역이 경쟁력을 갖추는데 모든 역량을 쏟아 붓는다. 새해 첫 날 최복수 4대 충북경자청장이 취임 일성으로 '도약'을 강조한 것도 이 같은 과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최 청장으로부터 경자구역이 새로운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비전과 나아갈 방향, 미래 전략 사업 등에 대해 들어봤다. ◇취임한 지 한 달 반이 지났는데 소감은. "지난 1월 1일 청장으로 취임한 후 한 달이 빠르게 지나버렸다. 먼저 공무원으로 다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준 충북과 고향에 깊이 감사하는 마음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다. 그동안 내부 조직과 주요 현안 사업들을 꼼꼼히 점검하고, 길었던 청장 부재 기간을 겪은 조직의 안정과 대외 신뢰 회복에 중점을 뒀다. 이를 위해 직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청렴 서약식도 개최했다. 경제자유구역청의 기본적인 역할은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려는 꿈과 희망을 품고 이를 하나하나 실현해 나가는 데 있다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