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3℃
  • 맑음강릉 0.2℃
  • 서울 -1.3℃
  • 구름많음충주 -1.9℃
  • 구름많음서산 -2.3℃
  • 청주 -0.5℃
  • 대전 -1.4℃
  • 구름많음추풍령 -2.7℃
  • 맑음대구 0.1℃
  • 맑음울산 0.5℃
  • 흐림광주 2.2℃
  • 맑음부산 2.6℃
  • 흐림고창 2.5℃
  • 구름많음홍성(예) -1.2℃
  • 흐림제주 6.9℃
  • 흐림고산 6.6℃
  • 흐림강화 -1.9℃
  • 구름많음제천 -2.9℃
  • 흐림보은 -1.6℃
  • 구름많음천안 -1.1℃
  • 구름많음보령 -0.7℃
  • 구름많음부여 -0.7℃
  • 흐림금산 -1.4℃
  • 구름많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0.0℃
  • 맑음거제 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지방대학 기술창업기업 5년 생존율 86.28%

고용정보원 '지역산업과 고용' 가을호 발간
대부분 연구개발특구·산업단지 등 확장 이전
청주 오송·오창산단 중심 산학협력 집중
"장기적 지역 내 혁신 네트워크 구축 과제"

  • 웹출고시간2024.10.06 16:05:08
  • 최종수정2024.10.06 16:05:08
[충북일보] 지방대학에서 배출된 창업기업 10개 중 8개 이상이 동일 지역에서 정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기업이 지역에 정착하는 데는 연구개발 특구 등 특화공간이 중요한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었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지역고용학회가 공동으로 발간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가을호(통권 13호)에는 조성철 국토연구원 산업입지연구센터장이 대학에서 배출되는 창업과 기술이전이 어떠한 경로와 네트워크를 거쳐 지역생태계에 기여하는지 실증적으로 탐구한 '지역혁신체계에서의 대학의 역할 진단'이 수록됐다.

조 센터장이 KoDATA(한국평가데이터)를 활용해 살펴본 결과 2015년 기준 대학에 입지했던 1천203개의 기술창업 중 2020년에도 정상 운영되고 있는 사업체의 숫자는 86.28%인 1천38개였다.

이는 OECD 주요 국가의 창업기업 5년 생존율인 58.3%를 상회하는 것이며 우리나라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이 29.2% 수준인 점을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로 분석됐다. 2015년 대학발 기술창업 중에서 5년 후에도 동일한 광역시·도에서 사업장을 운영하는 비중은 69.29%로 나타났다.

휴·폐업의 경우를 제외하고 생존기업으로만 분석을 한정하면 전체의 80.64%에 해당하는 기업이 동일한 광역시·도에서 사업을 지속하고 있었다.

생존한 기술창업 중에서 8.77%에 해당하는 91개의 사업체가 5년 뒤에도 대학 내에 여전히 입지했다.

통상 창업보육센터 입주기간은 5년 한도로 제한돼 있기 때문에 보육기간 종료 후에는 배출된 창업기업들이 연구개발특구 사업을 통해 조성된 기업 지원공간으로 사업장을 옮겨 활동을 지속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례로 충북대학교의 경우에는 충북 청주 강소연구개발특구 내 학연산공동기술연구원이나 융합기술원 등의 기업지원공간을 조성해 운영하고 있었다.

비수도권 대학에서 발생한 기술창업의 확장 이전 부지는 연구개발특구(38.76%)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산업단지로의 이전 비중(33.94%)이 높게 나타났다. 경제자유구역(2.87%) 등 기타 계획입지 제도를 제외한 뒤, 대학을 나와 개별입지 형태의 사업장 확장을 시도한 경우는 전체의 15.69%에 불과했다.

조 센터장은 충청권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조도 진단했다.

충청권의 공동연구 네트워크는 타 권역에 비해 다양한 연구기관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발달해 있다.

지리적으로는 KAIST 등이 입지한 대전광역시 대덕구·유성구 일대를 중심으로 청주시와 공주시를 아우르는 일대에 지리적으로 집중돼 있었다.

특히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기업체 다수가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오송·오창 일대 산업단지에 입주했다.

청주시에서는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창과학산업단지, 오창제2산업단지 등 지역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대학 및 대·중소기업체의 산학협력 관계가 밀도 있게 조직돼 있었다.

오송·오창 일대의 산업단지에는 산학융합지구(산업통상자원부), 규제자유특구(중소벤처기업부), 강소연구개발특구(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혁신플랫폼(교육부) 등 다수의 국가 혁신거점 육성사업이 중첩 지정·지원되고 있어 산학협력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물리적 거점 및 지원체계가 잘 발달해 있었다.

충북테크노파크,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의 공공기관 역시 관련분야 내에서 공동연구를 조직하거나 기관 간의 관계를 중개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

조 센터장은 혁신 주체별 연결중심성도 분석했는데 대학이 참여하는 지식 네트워크의 약 66%는 광역시·도 바깥에 있는 혁신 주체와의 협력으로 구성됐다.

대·중견기업의 경우는 평균 82.5%, 중소기업은 62.1%, 공공기관과 연구소는 66.8%의 지식 네트워크가 광역시·도 바깥 주체와의 관계로 조직돼 있었다.

충북의 경우 △대학(역내 44.1%, 역외 55.9%) △대·중견기업(역내 10.7%, 역외 89.3%) △중소기업(역내 32.6%, 역외 67.4%) △공공기관·연구소(역내 27.0%, 역외 73.0%)로 대학을 제외한 대·중견기업, 중소기업, 공공기관·연구소는 타 시·도에 있는 혁신 주체와 높은 의존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조 센터장은 "지방대학에서 배출된 스타트업은 상당히 높은 비중으로 지역에 정착하고 있으며 산업단지나 연구개발특구와 같은 거점공간이 지방의 창업성과를 결집시키는 데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한 "지식 클러스터의 균형 있는 발달을 위해서는 지역 내부의 네트워크 결집과 지역 외부로의 적절한 파이프라인 개설이 동시에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