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8.3℃
  • 맑음강릉 15.9℃
  • 구름조금서울 18.6℃
  • 맑음충주 19.0℃
  • 맑음서산 16.3℃
  • 맑음청주 19.4℃
  • 구름조금대전 17.9℃
  • 구름조금추풍령 17.2℃
  • 맑음대구 21.9℃
  • 맑음울산 18.0℃
  • 맑음광주 17.3℃
  • 맑음부산 18.6℃
  • 맑음고창 13.9℃
  • 맑음홍성(예) 18.7℃
  • 구름조금제주 14.9℃
  • 구름조금고산 11.9℃
  • 맑음강화 15.0℃
  • 구름조금제천 17.6℃
  • 구름조금보은 17.9℃
  • 맑음천안 17.6℃
  • 맑음보령 15.9℃
  • 맑음부여 19.3℃
  • 구름많음금산 17.0℃
  • 맑음강진군 17.8℃
  • 구름많음경주시 19.9℃
  • 맑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세종시 토지보상 후 3년간 30명 자살

'돈 폭탄'에 민심만 흉흉

  • 웹출고시간2009.04.05 20:18:16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행정도시 건설 예정지(충남 연기군 남면 전월산, 원수산, 장남평야, 금남면 금강 일원)

3~4년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가 들어서는 충남 연기군과 공주시 일대에 3조6천55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정부 토지보상금이 투입됐다.

2007년 4월 이전 기준으로 5년간 전국에서 가장 많은 토지보상금이 이곳에 풀린 것이다.

말 그대로 '돈 폭탄'이 작은 농촌마을을 휩쓸었다.

이 같은 영향 탓일까. 연기군 금남면 일대에만 30여곳의 부동산 중개업소가 우후죽순 들어섰다.

보상금을 노린 부동산 재투자 열풍이 불기 시작한 것이다. 해당 주민들 중 70%가 2억원 미만의 토지보상금을 받았으며 나머지 30%는 3억원 미만의 보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3년이 지난 지금, 이곳의 실정은 말이 아니다. 세종시 건설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보상금을 받은 주민들 중 3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기를 당해 보상금을 모두 날렸거나 가족간 불화 등의 이유로 목숨을 끊은 사람이 넘쳐나고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농촌 인심마저 흉흉해 졌다.

2006년 이후 이곳에 950세대, 230세대 규모의 임대아파트 2채가 들어섰는데 원주민들의 전세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생활비 등으로 보상금을 모두 써버려 이 집 저 집을 다니며 동냥하는 노인들도 많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종시 건설이 앞으로 계속해서 지연되거나 계획대로 추진되지 않는 데다 대안마저 마련되지 않는다면 남은 지역민들의 삶은 위험에 봉착할 것이라는 관측을 낳고 있다.

/최대만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