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8℃
  • 맑음강릉 16.6℃
  • 맑음서울 13.6℃
  • 맑음충주 14.1℃
  • 맑음서산 13.5℃
  • 맑음청주 14.8℃
  • 구름많음대전 13.7℃
  • 흐림추풍령 12.9℃
  • 맑음대구 17.2℃
  • 맑음울산 18.3℃
  • 구름많음광주 14.8℃
  • 맑음부산 17.7℃
  • 구름많음고창 13.1℃
  • 맑음홍성(예) 15.0℃
  • 구름조금제주 17.2℃
  • 구름많음고산 13.9℃
  • 맑음강화 13.0℃
  • 맑음제천 12.6℃
  • 흐림보은 12.9℃
  • 맑음천안 14.8℃
  • 구름조금보령 13.5℃
  • 구름많음부여 14.3℃
  • 흐림금산 13.7℃
  • 맑음강진군 16.4℃
  • 맑음경주시 18.1℃
  • 맑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학교법인 청석학원 축구 명가 부활

청주대 창단 45년만에 전국대회 첫 우승
대성고 24년만에 패권 되찾아
대성중도 41년만에 첫 우승

  • 웹출고시간2018.03.05 18:52:34
  • 최종수정2018.03.05 18:52:34
[충북일보] 청주대는 축구부 창단 45년 만에 전국 규모 대회 우승을 처음으로 차지하면서 명성을 전국에 떨쳤다.

조민국 전 울산 감독이 지난 2005년부터 지휘봉을 잡기 시작한 청주대는 지난 달 28일 통영공설운동장에서 열린 54회 춘계대학축구연맹전 결승전 성균관대와의 대결에서 전후반 및 연장전을 1대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대3으로 승리해 정상에 올랐다.

청주대는 지난 1973년 축구부를 설립했으나 전국 규모 대회에서 챔피언 트로피를 들어올리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청주대성고도 2017 추계한국고등학교축구연맹전을 발판 삼아 제2의 전성기를 열고 있다.

청주대성고는 지난해 7월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5회 백록기 결승전에서 신평고를 1-0으로 제압하고 24년 만에 대회 패권을 되찾았다. 청주상고 시절인 1991년에 고교 축구를 평정했던 옛 명성을 되찾는 신호탄을 쏘아올린 것이다.

1946년 창단한 청주대성고 축구부는 1990년대 초반 전국대회 3관왕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려왔다. 그동안 최순호 포항 스틸러스 감독, 2002한일월드컵 대표팀 골키퍼 이운재, 리우 올림픽 대표팀 미드필더 이찬동 등 25명의 국가대표 및 청소년 대표를 배출했다.

대성고는 전국 각종 축구대회에서 이번 대회 포함 16차례의 우승과 14차례의 준우승을 해왔다.

대성중학교도 선배들의 우승행진에 가담했다. 청주 대성중은 지난 2월 경북 영덕에서 열린 제54회 춘계 한국중등(U-15)축구연맹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대성중은 이번 대회 청룡그룹 결승에서 강구중에 2대1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청석학원 관계자는 "청주대학의 45년만에 창단 첫 우승과 대성중의 41년만에 우승, 대성고의 24년만에 패권 재탈환은 청석학원 축구의 부활을 의미하는데 충분하다고 생각된다"라며 "앞으로 축구부가 명성을 떨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김병학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