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8℃
  • 흐림강릉 8.7℃
  • 서울 13.1℃
  • 흐림충주 16.1℃
  • 맑음서산 12.2℃
  • 청주 19.0℃
  • 대전 19.4℃
  • 구름많음추풍령 14.8℃
  • 구름많음대구 19.5℃
  • 구름많음울산 20.3℃
  • 흐림광주 19.0℃
  • 부산 17.3℃
  • 구름많음고창 18.7℃
  • 홍성(예) 13.6℃
  • 구름많음제주 19.6℃
  • 구름많음고산 16.1℃
  • 흐림강화 10.5℃
  • 구름많음제천 13.1℃
  • 구름많음보은 14.4℃
  • 흐림천안 18.0℃
  • 구름조금보령 12.2℃
  • 구름많음부여 16.9℃
  • 구름많음금산 21.8℃
  • 구름많음강진군 18.4℃
  • 구름많음경주시 22.0℃
  • 구름많음거제 17.8℃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세종시 광역BRT 노선, 조치원 서창역~천안아산역 연장 추진

2020년까지 승객 100명 탈 수 있는 2칸 짜리 BRT 12대 도입
행복도시건설청,2030년 목표 세종 광역권 대중교통 전략 발표
연말까지 광역BRT 기본요금 단일화, 지역 간 무료환승제 도입

  • 웹출고시간2017.04.19 18:21:52
  • 최종수정2017.10.23 04:38:12

오는 2030년이면 세종을 중심으로 대전,청주,천안,공주,계룡 등 광역도시권은 인구가 400만~500만명에 달하는 대도시권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행복도시건설청은 BRT 중심의 광역대중교통 개선 전략을 마련했다. 사진은 세종 신도시 야경.

ⓒ 행복도시건설청
[충북일보=세종] 세종시 광역 BRT(간선급행버스)도로를 조치원읍 서창역을 거쳐 KTX 천안아산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세종 신도시와 대전역 사이에 있는 대전 유성구 신동·둔곡지구(과학벨트 거점지구)에도 BRT와 일반 버스 등을 갈아 탈 수 있는 환승시설이 건립된다.

오는 2020년까지는 승객을 기존 1칸짜리 BRT(50명)의 2배까지 태울 수 있는 2칸짜리 BRT도 모두 12대가 도입된다. 행복도시건설청이 19일 발표한 '행복도시(세종 신도시) 2030 광역대중교통 추진 전략'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세종 신도시 주변 광역BRT 노선 계획안.

ⓒ 행복도서건설청
◇공주역·청주공항까지도 BRT 운행 검토

행복도시건설청은 "신도시 건설이 끝나는 오는 2030년이면 세종을 중심으로 대전,청주,천안,공주,계룡 등 광역도시권은 인구가 400만~500만명에 달하는 대도시권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에 따라 생활권 내 모든 지역에서 신도시까지 4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도록 BRT 중심의 광역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밝혔다.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복도시건설청이 추진할 4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역 BRT 시설을 확충한다. 추가 건설될 BRT노선은 △신도시~조치원(서창역) △신도시~청주터미널 △신도시~공주터미널 △반석역~유성복합터미널 등 4곳이다.

서창역은 오는 2022년께부터 운행될 수도권 전철 청주공항 연장 노선의 환승역이다.

또 △서창역~천안아산역 △공주터미널~공주역 △오송역~청주공항 △청주터미널~청주공항 등 4개 노선은 추후 신설을 검토한다.

오송역 서측광장에는 종합 버스환승센터를 만든다.

BRT에서 대전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는 반석역에는 BRT정류장과 역 지하 플랫폼을 연결하는 통로를 신설한다.

지하철처럼 스크린도어를 갖춘 신교통형 BRT정류장이 올해 세종 신도시 3곳(도램마을, 정부청사 북측, 첫마을)에 조성된다.

ⓒ 행복도시건설청
대전 유성구 신동·둔곡지구에는 과학벨트 거점지구 준공 시기(2019년말)에 맞춰 BRT와 일반 버스 등을 갈아탈 수 있는 환승시설을 새로 만든다.

둘째, BRT를 세계적 수준으로 고급화한다.

이를 위해 우선 첨단 시설을 갖춘 신교통형 정류장을 만든다. 정류장은 올해 3곳(도램마을, 정부청사 북측, 첫마을)에 이어 2020년까지 신도시 내 모든 정류장, 2030년까지는 광역권 전 지역으로 확대 설치된다. 행복도시건설청은 "새로 만드는 정류장은 지하철처럼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안전하고, 승객이 차를 타기 전에 요금을 지불하기 때문에 운행 시간이 단축된다"고 설명했다.

승객을 100명까지 태울 수 있는 2칸짜리 BRT는 올해 4대를 발주, 제작을 거쳐 2019년부터는 실제 운행되도록 한다. 2020년까지는 모두 12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위싱턴D.C. 모델 광역교통시스템 도입 추진

현재 버스요금 체계는 지자체 별로 제각각이다.

세종 신도시 주변 지자체 별 버스요금 체계.

ⓒ 행복도시건설청
시내버스 기본요금(카드 기준)의 경우 △세종 1천150원 △대전 1천250원 △청주 1천200원 △공주 1천350원이다. 또 BRT 시내 구간 요금은 세종(990번)은 일반버스와 같은 1천150원인 반면 대전(1001번)은 시내버스보다 450원 비싼 1천700원이다.

이에 따라 행복도시건설청과 각 지자체는 올해말까지 광역BRT의 기본요금을 단일화하고, 지역을 달리할 때에도 무료 환승제를 적용키로 했다.

하지만 개별 지자체가 광역 BRT노선을 운행하다 보면 노선 및 수익 배분,비용 분담 등을 둘러싸고 지자체 간 이해 관계가 복잡해 문제가 있다는 게 행복도시건설청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미국 위싱턴D.C.를 모델로 삼아 광역교통시스템을 도입키로 했다.

특히 2개 이상에 걸친 지자체를 운행하는 광역BRT의 경우 정부(행복도시건설청)가 중심이 돼 별도 기구를 구성, 운영토록 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수도권을 운행 중인 'M버스'의 노선 조정과 인허가권을 국토교통부가 갖고 있다.

한편 행복도시건설청은 6개 지자체(대전, 세종, 충남·북, 청주, 공주)와 함께 지난 2013년부터 광역교통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 행복도시건설청은 "최근 천안시도 협의회 참여를 희망해 왔다"고 밝혔다.

세종 / 최준호기자 choijh5959@hanmail.net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