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8.3℃
  • 맑음강릉 15.9℃
  • 구름조금서울 18.6℃
  • 맑음충주 19.0℃
  • 맑음서산 16.3℃
  • 맑음청주 19.4℃
  • 구름조금대전 17.9℃
  • 구름조금추풍령 17.2℃
  • 맑음대구 21.9℃
  • 맑음울산 18.0℃
  • 맑음광주 17.3℃
  • 맑음부산 18.6℃
  • 맑음고창 13.9℃
  • 맑음홍성(예) 18.7℃
  • 구름조금제주 14.9℃
  • 구름조금고산 11.9℃
  • 맑음강화 15.0℃
  • 구름조금제천 17.6℃
  • 구름조금보은 17.9℃
  • 맑음천안 17.6℃
  • 맑음보령 15.9℃
  • 맑음부여 19.3℃
  • 구름많음금산 17.0℃
  • 맑음강진군 17.8℃
  • 구름많음경주시 19.9℃
  • 맑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50년 뒤… 충북은 '아열대'

23일 64회 세계 기상의 날
단양·영동 등 4곳 2.2도 상승
강수량 1천304㎜ → 1천554㎜

  • 웹출고시간2014.03.20 22:01:59
  • 최종수정2014.03.20 22:01:51
지구 온난화가 현실로 다가왔다. 사실 모두가 알고 있었다. 단지 실감하지 못했을 뿐이다.

50년 뒤 충북은 전형적인 아열대 지역에 속할 것이란 결과가 나왔다.

청주기상대가 20일 내놓은 '충북 기후변화 전망보고서'를 보면, 50년 뒤 도내 평균 기온은 현재(13도)보다 2.1도 상승할 전망이다.

단양·영동·증평·제천 등 4곳은 2.2도나 오른다. 세계기상기구(WMO)가 발표한 기존 전망 온도 1.8도 보다 0.4도 높은 수치다.

강수량은 1천304㎜에서 1천554㎜로 19% 늘어난다.

사면이 내륙인 충북의 지형적 특성상 온실가스 감축수행 여부와 관계없이 아열대 현상이 가속화되고, 강수량은 현재보다 20~3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청주기상대는 충북의 아열대화 원인으로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지목했다. 산업화로 발생한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가 더워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가 내뿜는 온실가스는 지구가 방출한 복사열이 우주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한다.

그 결과 한반도의 기온 역시 꾸준히 오르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향후 획기적인 온실가스 감축이 실현되지 않는 한 이런 추세는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한반도의 대부분 지역은 대륙성 기후구에 해당했다. 기온의 일교차와 연교차가 상대적으로 크고,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 등 계절별 특징이 뚜렷한 기후 조건이다.

남해안 일부 지역만이 습윤 아열대 기후구에 속했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지만 겨울에 비교적 온화한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온난화의 영향으로 아열대 기후구에 속하는 지역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정광모 청주기상대 예보관은 "충북의 경우 타 지역보다 온난화가 느린 편이지만, 해를 거듭하면 할수록 뜨겁게 달궈지고 있다"며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 외에는 기후변화를 설명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이주현기자

"온난화 심각, 환경변화에 대한 도민 인식 바껴야"

최경철 청주기상대장이 20일 집무실에서 충북의 기후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주현 기자

최경철 청주기상대장은 20일 충북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날씨 오보에 대한 해명과 보완점 등을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최근 날씨 예보가 잘 맞지 않는데

"비나 눈이 올지, 안 올지에 대한 정확도는 92%다. 요즘 도민의 추세를 보면, 강수 유무는 물론 강수량과 시간까지도 정확히 맞히길 원한다. 도민의 소득 수준이 향상될수록, 직업이 종류가 늘수록, 여가 시간이 많아질수록 정확한 일기예보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고 판단된다. 기상의 기술적 한계도 있지만,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상청의 노력이 필요하다."

-보완점은

"최근 온실가스 배출로 기후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긍정적인 것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나 가뭄 등 극한값들이 심해지는 부분이다. 기상대는 미래 기후 예상에 따라 기후변화와 관련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환경변화에 대한 도민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공공 기상 서비스와 기상산업 육성 문제에 대한 입장은

"기상기후정보와 타 산업을 융합해 다른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야말로 창조경제라 할 수 있다. 현재 기상청은 정부 3.0 및 창조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공기상 서비스 개발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기상청의 서비스가 확대될수록 볼멘소리가 나오는 곳이 바로 민간 기상산업 분야다. 기상청에서 하는 일이 많아질수록 민간 기상업체들이 할 일이 줄기 때문이다. 공공서비스는 기상청이 담당하고, 민간서비스는 민간기상사업자가 담당할 수 있도록 역할을 정립해야 한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