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1.8℃
  • 맑음서울 16.1℃
  • 맑음충주 14.1℃
  • 구름많음서산 13.8℃
  • 맑음청주 15.0℃
  • 맑음대전 16.0℃
  • 맑음추풍령 12.7℃
  • 구름조금대구 14.0℃
  • 구름조금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15.4℃
  • 구름조금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12.0℃
  • 구름많음홍성(예) 14.5℃
  • 흐림제주 12.4℃
  • 구름많음고산 10.6℃
  • 구름조금강화 12.8℃
  • 구름조금제천 14.1℃
  • 맑음보은 14.0℃
  • 맑음천안 14.3℃
  • 구름조금보령 12.2℃
  • 구름조금부여 15.3℃
  • 구름많음금산 15.3℃
  • 구름많음강진군 15.0℃
  • 맑음경주시 13.1℃
  • 구름조금거제 14.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도, 교통인프라 사업 우왕좌왕

27일 심사위서 오송 사업계획 철회 최종결론
청주공항 국제선 신설…'수요적 한계' 봉착
"산업전략 엇박자…콘트롤타워마저 없어"

  • 웹출고시간2013.09.22 19:48:27
  • 최종수정2013.09.22 18:14:18

충북도의 미래 성장축인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사업와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자칫 민선 5기 최대 실정(失政)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도와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전국 유일의 KTX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의 운명은 오는 27일 결정된다. 이날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심의위원회를 통해 사업참여 의사를 밝힌 2개 컨소시엄에 대한 적격여부를 가릴 예정이다.

도는 앞서 23∼25일 중 하루를 선택해 오송역세권 민관학협의회를 개최한다. 도시개발 전문가와 개발예정지 주민들의 의견을 최종 수렴하겠다는 취지다.

현재로서는 2개 컨소시엄 모두 적격심사를 통과할 가능성이 희박하다. 사실상 오송역세권 개발사업 백지화가 유력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는 오송역세권과 함께 대표적인 교통인프라인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방안에 몰두하고 있다.

현재 우한(武漢), 난창(南昌), 자무스(佳木斯), 정저우(鄭州), 칭다오(靑島), 다롄(大連), 시안(西安), 일본 도쿄(東京) 등 11개 부정기 노선이 있고, 정기 노선인 베이징(北京), 항저우(杭州), 선양(瀋陽) 등은 운항과 운휴를 반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에 정기노선을 신설하는 방안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우선 부정기노선 취항을 통해 60~70%에 달하는 항공수요가 창출되면 일부 적자보전 시책을 활용해 정기노선화를 유도한다는 복안이다.

도는 이미 일본과 중국, 동남아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60% 이상에 달하는 항공수요를 파악해 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도가 오송역세권과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나타난 성과는 거의 없는 상태다.

이처럼 타 지역이 갖지 못하고 있는 KTX 분기역과 국제공항이 제구실을 하지 못하면서 원인과 처방에 대한 지역 경제계의 목소리는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오송 보건의료분야 6대 국책기관의 한 관계자는 "충북 지자체도 오송과 청주공항에 대한 투자를 기피하는 상황에서 민자유치를 얘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중앙정부를 상대로 예산확보 투쟁을 전개하는 것과 병행해 지역 차원의 투자확대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항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와 오송 역세권이 활성화돼야 청주공항에 국제선이 취항하고, 이를 토대로 항공복합산업단지 개발이 이뤄질 수 있다"며 "특히 안정적인 항공수요를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국제선 신설을 추진하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오창과학산업단지 내 한 CEO도 "현재 각종 인프라 시설이 배치되는 것을 보면 소지역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즉흥적 결정으로 보여진다"며 "오송과 청주공항 중심의 교통인프라와 도내 남부권과 중·북부권의 특화된 산업전략이 엇박자를 내고 있지만, 이를 조율할 수 있는 콘트롤타워마저 없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 김동민기자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