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5.6℃
  • 맑음강릉 15.9℃
  • 구름많음서울 16.6℃
  • 구름조금충주 15.4℃
  • 구름많음서산 11.3℃
  • 구름조금청주 18.4℃
  • 구름조금대전 17.0℃
  • 구름조금추풍령 16.8℃
  • 구름조금대구 17.3℃
  • 박무울산 11.3℃
  • 구름많음광주 16.7℃
  • 맑음부산 12.8℃
  • 구름많음고창 11.7℃
  • 구름많음홍성(예) 13.2℃
  • 구름많음제주 14.6℃
  • 구름많음고산 14.4℃
  • 구름많음강화 10.5℃
  • 구름조금제천 12.4℃
  • 구름조금보은 14.3℃
  • 구름많음천안 15.6℃
  • 구름많음보령 10.1℃
  • 구름많음부여 13.5℃
  • 구름많음금산 16.7℃
  • 구름많음강진군 14.5℃
  • 구름조금경주시 12.6℃
  • 구름많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긴급진단] 수곡동 보건소 설치운동 왜?

주민 1만명 "제발 설치해주세요"
충북도내 최대 기초수급밀집·자살지역
절반 우울증…공공보건시설 시급

  • 웹출고시간2013.09.04 19:57:34
  • 최종수정2013.09.04 19:52:00
최근 당위성 없는 '보건소 신설 서명운동'을 전개해 논란의 중심에 선 청주시 수곡동 주민들.

이들도 어찌 보면 선의의 피해자나 다름없다. 서명운동을 주도한 주민 네트워크로부터 '내년 7월 통합시 출범 후 수곡동이 포함되는 서원구에만 유일하게 보건소가 설치되지 않는다'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받고 서명에 동참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민들이 선뜻 서명을 한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이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보건 인프라 확충을 원했다. 보건소가 됐든, 보건지소가 됐든 저가의 비용으로 질 좋은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공보건시설을 설치해 달라고 지금까지 요구 중이다.

왜일까. 먼저 수곡2동의 거주 환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곳은 도내에서 국민기초생활수급세대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지난달 말 기준 1천376가구로 청주시 전체 8천986가구의 15.3%를 차지한다. 가구원 수도 1천900명으로 청주시 전체 대비 12.4%나 된다.

원인은 '산남주공2단지'다. 도내 최대 영구임대아파트 밀집지역으로서 총 1천985가구 중 1천267가구가 기초수급세대다. 나머지 가구도 차상위 계층과 장애인, 국가유공자 같은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구성돼 있다. 도심 속 '가난의 섬'이 형성된 셈이다.

이들의 생활고는 생각보다 심각하다. 청주복지재단과 청주시정신건강증진센터, 산남종합사회복지관이 아파트의 복지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한 달 수입 30만원 이하가 21.%나 됐다. 30만원~50만원 이하가 12.6%, 50만원~100만원 이하가 17.6%로 뒤를 이었다.

경제적 어려움은 '정신적 피폐 현상'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에서 입주민의 절반에 가까운 46.2%가 우울증세를 보였다. 알코올 남용 또는 의존자는 30.4%, 문제음주자는 21.5%에 달했다.

빈곤과 정신 질환을 이기지 못하는 일부 입주민들은 '자살'이란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한다. 지난 1991년 아파트 건립 후 지금까지 100명 이상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최근 들어 그 수가 줄긴 했으나 아직도 연 평균 4~5명이 투신을 하고 있다.

아파트 입주민들과 인근 공공기관, 복지관 등은 이런 총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보건시설'이 반드시 설치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입주민, 특히 자살자 상당수가 정신·알코올 질환을 앓고 있는 만큼 이를 치료할 수 있는 보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들이 최근 전개한 '보건소 설치 서명운동'은 효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 수곡동이 편제되는 서원구에 보건소가 설치·운영되는 것으로 정해졌기 때문이다.

서원보건소로 명칭이 바뀌는 현 흥덕보건소가 다른 지역으로 신축 이전을 한다면 수곡동에 보건소를 신설할 수는 있어도 예산 등을 고려할 때 거의 현실 불가능한 얘기나 다름없다.

대신 '보건지소' 설치는 충분히 가능하다. 지역보건법 상 보건지소는 보건소 업무수행을 위해 읍·면마다 1개소씩 설립되는데, 읍·면 단위가 아닌 도시라도 지역주민의 보건의료를 위해 필요한 곳에는 '도시형 보건지소'를 설치할 수 있다.

청주시는 이 규정에 따라 지난 2010년 수곡2동 다음으로 기초수급자가 많은 용암1동에 용암보건지소를 개소했고, 오는 10월에는 보건소 접근성이 떨어지는 강서1동에 강서보건지소를 준공할 예정이다.

이를 적용하면 통합 청주시 최대 슬럼가인 수곡2동에도 도시형 보건지소를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예산 확보가 관건이다. 도시형 보건지소를 설립하려면 30~50억원이 필요한데 청주시는 수년 전부터 난색을 표해왔다.

수곡2동 주민 네트워크 관계자는 "청주시와 정치권이 조금만 더 관심을 가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임에도 모두들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며 "통합 청주시 출범을 앞두고 공공보건시설 설치를 원하는 1만명 주민들의 간절한 뜻을 각계각층에 전달할 계획"이라고 했다.

/ 임장규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