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8.24 13:35:39
  • 최종수정2021.08.24 13:35:39
[충북일보] 지역감정을 자극하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여전히 영남과 호남, 충청으로 이어지는 3각 구도를 아예 배제하고는 선거를 예측하기 힘든 독특한 지역정서가 여전하다.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있는 여당의 친문(친문재인) 그룹은 선거와 관련한 지역 구도를 얘기하는 것으로 극도로 경계한다. 그들은 이미 우리나라 국민의식이 이제는 지역 구도를 극복할 만큼 성숙했다는 점을 자주 주장하고 있다.

이재명·이낙연의 확장성

여권의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 측은 최종 후보가 선출될 때까지 극단적인 대결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낙연 측 일각에서는 이재명의 최종후보 선출을 최악의 시나리오로 간주하는 분위기다. 반대로 이재명 측은 이낙연의 확장성 부족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역대 대선에서 호남 출신 후보의 경쟁력만으로 대권에 성공한 사례는 없었다. 노무현·문재인은 PK(부산·울산·경남)에서 40~50%쯤 지지를 얻고 호남에서 90% 이상 득표한 뒤 간신히 보수당을 이겼다.

이 같은 지역적 구도는 내년 3월 대선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아직은 우리 정치가 지역 구도를 극복할 준비가 안 된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영남과 호남의 패권주의가 그동안 우리 정치를 망쳐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정 정당과 특정 후보에 대한 전략적 선택에 대한 우려가 높았지만, 영·호남은 늘 외길을 걸었다.

반면 충청은 지역구도에 연연하지 않았다. 심지어 일부 시민단체들은 엄연한 지역 구도를 보도한 언론을 비난하는데 앞장섰다.

역대 대통령 중 충청 출신은 내각제 하에서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 밖에 없었다. 그는 충남 아산 출신이다. 특히 충북은 현재까지 국무총리조차 배출하지 못했다.

충청은 늘 권력의 변방이었다. 마치 신라와 백제가 충청을 차지한 뒤 고구려에 대항하려다가 태조 왕건에 의해 복속된 1천 년 전의 모습과 비슷했다.

충청은 달라져야 한다. 1천 년을 이어온 정치의 변방에서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에 서야 한다. 이를 위해 영·호남 시대를 넘어서야 한다. 그래야 대한민국의 정치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인구수만 보더라고 충청은 이미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으로 우뚝 설 자격을 갖췄다.

현재 충청의 인구는 충남 212만1천 명, 충북 160만1천 명, 대전 146만4천 명, 세종 35만6천 명 등 모두 554만2천 명이다. 반면 호남은 전남 185만2천 명, 전북 180만4천 명, 광주 145만 명 등 510만6천 명에 불과하다.

상황이 이런데도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충청은 고위직 인사에서 홀대를 받았다. 대신 호남은 고위직 인사를 독식했다. 마치 이명박 정부 시절 '영·포 라인'에 버금갈 정도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PK 중심의 인사로 호남의 반발을 불러왔지만, 문재인 정부에서 호남의 고위직 인사 독식은 역대 최대 수준이었다. 노영민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많이 노력했지만, 호남 독식을 바꾸지는 못했다.

'떡 고물' 아닌 '떡' 만들어야

충청은 각종 SOC 혜택을 받았다. 충남의 올 상반기 건설수주는 5조5천56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3조293억 원 대비 무려 83.5%나 증가했다. 충북도 3조4천4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9천561억 원 대비 74.0%나 늘었다.

이는 한국판 뉴딜 등 코로나 시대에 맞는 확장재정 원칙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SOC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충청의 정부정책 결정권이다. 호남권 SOC 사업을 따져보면 큰 차이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

충청은 반드시 영·호남을 극복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영·호남 중심의 정권이 주는 '떡 고물'이 아닌 '떡'을 만들어야 한다. 이제는 영·호남이 선택한 2순위가 아닌 새로운 '충청의 길'을 찾아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