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8℃
  • 맑음강릉 16.6℃
  • 맑음서울 13.6℃
  • 맑음충주 14.1℃
  • 맑음서산 13.5℃
  • 맑음청주 14.8℃
  • 구름많음대전 13.7℃
  • 흐림추풍령 12.9℃
  • 맑음대구 17.2℃
  • 맑음울산 18.3℃
  • 구름많음광주 14.8℃
  • 맑음부산 17.7℃
  • 구름많음고창 13.1℃
  • 맑음홍성(예) 15.0℃
  • 구름조금제주 17.2℃
  • 구름많음고산 13.9℃
  • 맑음강화 13.0℃
  • 맑음제천 12.6℃
  • 흐림보은 12.9℃
  • 맑음천안 14.8℃
  • 구름조금보령 13.5℃
  • 구름많음부여 14.3℃
  • 흐림금산 13.7℃
  • 맑음강진군 16.4℃
  • 맑음경주시 18.1℃
  • 맑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세종시 공동캠퍼스에 'KDI국제정책대학원'도 입주

17일 행복도시건설청·세종시와 관련 합의각서 체결
전체 재학생 '10명 중 7명'이 외국인인 국제화 대학

  • 웹출고시간2020.07.18 15:31:42
  • 최종수정2020.07.18 15:31:50

KDI국제정책대학원과 행복도시건설청·세종시가 17일 오후 세종시 반곡동 KDI국제정책대학원 4층 엠버서더홀에서 세종시 공동캠퍼스 입주를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각서를 들고 있는 사람(왼쪽부터)은 이춘희 세종시장,최정표 KDI대학원 총장,이문기 행복도시건설청장이다.

ⓒ 행복도시건설청
[충북일보]정부(행복도시건설청)가 세종시 4-2생활권에 조성하고 있는 공동캠퍼스에 'KDI(한국개발연구원)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제2캠퍼스'가 들어선다.

이 학교는 전체 재학생 '10명 가운데 약 7명'이 외국인이다. 이에 따라 이 캠퍼스는 국제화가 가속화할 전망이다.

KDI국제정책대학원과 행복도시건설청·세종시는 17일 오후 세종시 반곡동에 있는 이 학교 4층 엠버서더홀에서 공동캠퍼스 입주를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행사에는 최정표 KDI대학원 총장과 이문기 행복도시건설청장· 이춘희 세종시장을 비롯한 3개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에 따라 KDI대학원은 행복도시건설청으로부터 공동캠퍼스의 일부를 임대, 2024년 3월까지 제2캠퍼스를 설립한다.

이 곳에서는 개발정책학 등 석·박사 학위 과정 가운데 일부를 비롯해 올해 신설된 '세종국가경영' 과정 등이 운영된다.

정부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2천억 원을 들여 건물 연면적 5만㎡(1만5천152평) 규모로 짓는 공동캠퍼스는 내년 7월 착공돼 2023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캠퍼스에 입주할 대학은 오는 9월 모집 공고를 거쳐 내년 상반기까지 선정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사립인 고려대를 비롯해 국립인 △카이스트(KAIST) △충남대 △공주대 △충북대 등 5개 대학이 정부와의 합의각서나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해 입주 의사를 밝혔다.
ⓒ KDI(한국개발연구원)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홈페이지
☞KDI(한국개발연구원)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KDI(한국개발연구원) 부설 특수전문대학원으로, 1997년 12월 설립됐다. 당초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있었으나, KDI와 함께 2014년 12월 세종시 반곡동(203-40)으로 이전했다.

아시아·아프리카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7월 현재 전체 재학생 385명 가운데 70%인 269명이 84개국 출신 외국인이다.
한국에서는 주로 현역 공무원들이 입학한다. 이 학교의 모든 교과 과정은 영어로 강의가 진행된다.

세종 / 최준호 기자 choijh5959@hanmail.net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