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2.0℃
  • 흐림강릉 13.5℃
  • 흐림서울 14.8℃
  • 구름많음충주 15.0℃
  • 구름많음서산 13.1℃
  • 흐림청주 14.5℃
  • 맑음대전 14.2℃
  • 구름조금추풍령 12.8℃
  • 구름많음대구 11.3℃
  • 박무울산 11.6℃
  • 구름많음광주 15.3℃
  • 박무부산 13.0℃
  • 구름많음고창 16.0℃
  • 박무홍성(예) 11.7℃
  • 흐림제주 15.3℃
  • 흐림고산 16.6℃
  • 흐림강화 13.3℃
  • 흐림제천 12.3℃
  • 맑음보은 11.2℃
  • 구름많음천안 12.9℃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0.3℃
  • 구름조금금산 11.9℃
  • 구름많음강진군 14.2℃
  • 구름많음경주시 8.7℃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거리 내몰린 50대… 희망 잃은 중장년

재취업정책 까다로운 절차 등 부담
현장선 "신입 채용이 더 낫다" 꺼려
"사업주 파격 지원·부담 경감 필요"

  • 웹출고시간2019.04.11 20:55:25
  • 최종수정2019.04.11 20:55:25
[충북일보] 50대 이상 중장년들이 거리로 몰려나고 있다. 다시 일자리를 찾기란 쉽지 않다.

정부와 지자체의 일자리 정책은 청년·노인에 집중됐을 뿐 중장년의 재취업·재기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게다가 정부가 내 놓은 중장년 일자리 부양 정책은 현장에서 적용하는데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다.

중장년이 실업자 신세로 전락하는 것은 대부분 타의에 의한 실직이다. 결국 중장년 일자리 정책은 '재취업'에 방점을 찍을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정부가 마련한 중장년 재취업 정책은 청년·노인 정책보다 빈약한데다 절차마저 까다롭다.

고용노동부는 만 50세 이상 구직자를 고용하는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만 50세 이상 실업자를 신규 고용해 3개월간 고용을 유지했을 경우 우선지원대상 기업에 1인당 월 80만 원(중견기업 월 40만 원), 연간 960만 원(480만 원)이 지원된다.

사업주 입장에서는 중장년을 고용할 경우 청년 신입직원 대비 더 높은 급여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메리트가 적다.

게다가 지원을 받으려면 사업 참여 신청서(사업 계획서)를 제출한 뒤 심사·승인을 거쳐 사업을 시행하고 장려금 신청서를 또 제출해야 한다. 그 후 고용센터에서 장려금이 지급되고 지도·점검이 이뤄진다.

사업주는 서류(신청서) 작성에 따른 업무가 늘어나게 되고, 장려금 지급에 따른 정부 기관의 지도·점검까지 받게 된다.

도내 한 업체 관계자는 "(사업주가)귀찮은 일을 꺼리는 경향이 있어 현재까지 이 제도와 관련해 신청서를 작성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차라리 신입 직원을 채용해 회사 자체적으로 급여를 주는 편이 더 낫다는 의식이 지배적이다"고 말했다.

중장년 재취업 정책은 사업주에게 부담을 지우는 반면 청년·노인 정책은 '수혜자의 노력'만 있으면 된다. 정책의 파급효과와 수행도에서 차이가 날수밖에 없는 구조다.

정부가 18~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의 경우 미취업자에게 월 50만 원씩 6개월 간 최대 300만 원이 지원된다. 취업 성공 후에는 3개월 근속한 경우 현금 50만 원이 지급된다.

청년은 최대 350만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업주의 부담'은 없다.

노인 일자리 사업은 대부분 공공일자리 형식으로 정부·지자체에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다. 충북도는 올해 2만3천900개 이상의 공공일자리 창출을 위해 670억 원 투자계획을 밝힌 바 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중장년 일자리 부양을 위해서는 청년·노인 정책에 비견될 정도로 '파격적인 지원'과 사업주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현행처럼 복잡한 절차에다 사업주 입장에서 '하나마나 한' 수준이라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 성홍규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