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2.0℃
  • 흐림강릉 13.5℃
  • 흐림서울 14.8℃
  • 구름많음충주 15.0℃
  • 구름많음서산 13.1℃
  • 흐림청주 14.5℃
  • 맑음대전 14.2℃
  • 구름조금추풍령 12.8℃
  • 구름많음대구 11.3℃
  • 박무울산 11.6℃
  • 구름많음광주 15.3℃
  • 박무부산 13.0℃
  • 구름많음고창 16.0℃
  • 박무홍성(예) 11.7℃
  • 흐림제주 15.3℃
  • 흐림고산 16.6℃
  • 흐림강화 13.3℃
  • 흐림제천 12.3℃
  • 맑음보은 11.2℃
  • 구름많음천안 12.9℃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0.3℃
  • 구름조금금산 11.9℃
  • 구름많음강진군 14.2℃
  • 구름많음경주시 8.7℃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 고용상황 악화

7월 고용률 65.1%… 전달比 0.7%p 하락
취업자수 90만1천명… 한달새 9천명 감소

  • 웹출고시간2018.08.18 21:00:02
  • 최종수정2018.08.19 22:19:23
[충북일보] 충북 도내 고용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충북의 지난 7월 취업자 수와 고용률은 전달보다 하락하고, 실업률은 제자리를 맴돌았다.

18일 충청지방통계청은 '2018년 7월 충청지역(대전, 세종, 충북, 충남)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경제활동인구는 92만4천 명으로 15세 이상 인구(138만5천 명)의 66.7%다.

이는 전달 93만3천 명(67.4%)보다 9천 명, 0.7%p 감소한 수치다.

남자는 53만7천 명에서 53만6천 명으로 1천 명(0.3%p) 감소했다.

여자 경제활동인구의 감소폭이 도드라졌다. 여자는 39만6천 명에서 38만8천 명으로 8천 명(1.1%p) 감소했다.

취업자 수도 대폭 하락했다.

7월 취업자 수는 90만1천 명으로 전달 91만 명에서 9천 명 감소했다.

고용률은 65.1%로, 전달 65.8%보다 0.7%p 낮아졌다.

15~64세 고용률(OECD 비교 기준)은 70.2%로, 전달 70.8%보다 0.6%p 낮아졌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농림어업은 10만4천 명에서 10만 명으로 줄었고, 특히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의 하락이 눈에 띈다.

지난 6월 61만7천 명의 취업자를 기록했던 사회간접자본·기타서비스업은 7월 60만9천 명으로 8천 명 가량 대폭 줄어든다.

이는 도소매·숙박음식업이 16만9천 명에서 16만4천 명으로 5천 명 감소하고,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0만9천 명에서 30만7천 명으로 2천 명 감소한 영향이 크다.

광공업은 18만9천 명에서 19만2천 명으로 증가했다.

전체 취업자 수가 줄어든 만큼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관리자·전문가 13만5천 명에서 13만2천 명 △서비스·판매종사자 19만1천 명에서 18만9천 명 △농림어업숙련종사자 10만 명에서 9만6천 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사무종사자(13만6천 명) △기능·기계조작·조립·단순종사자(34만7천 명)는 전달과 동일했다.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비임금 근로자는 27만7천 명으로 전달 28만 3천 명보다 6천 명 감소했다.

자영업자는 21만4천 명에서 21만1천 명으로, 무급가족종사자는 69만 명에서 65만 명으로 감소했다.

임금근로자도 전체 62만7천 명에서 62만5천 명으로 줄었다.

지난달부터 시행된 '주 52시간 근무제'가 취업자들의 취업시간(근무시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28만9천 명에서 15만6천 명으로 감소했다.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61만3천 명에서 73만2천 명으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36~53시간 취업자는 47만2천 명에서 59만1천 명으로 11만9천 명 증가했다.

도내 실업률과 전체 실업자 수는 전달과 변화가 없었다.

실업률은 2.5%, 실업자 수는 2만3천 명이다.

다만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 실업률과 실업자 수는 낮아진 반면, 여자는 증가했다.

남자 실업률은 1.7%에서 1.4%로 0.3%p 낮아졌고, 실업자 수는 9천 명에서 8천 명으로 1천 명 감소했다.

여자 실업률은 3.5%에서 3.9%로 0.4%p 높아졌고, 실업자 수는 1만4천 명에서 1만5천 명으로 1천 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늘었다.

6월 45만 명이던 비경제활동 인구는 7월 46만1천 명으로 증가했다.

남자는 15만4천 명에서 15만6천 명으로, 여자는 29만7천 명에서 30만5천 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 성홍규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