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오송화장품뷰티엑스포 막 내려

205개 기업·40개국 바이어 참가
수출계약 실적 1천272억 원 달해

  • 웹출고시간2017.09.17 16:35:06
  • 최종수정2017.09.17 16:35:06

'2017 오송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가 지난 16일 닷새간의 일정을 마무리 지었다. KTX 오송역 일원에서 열린 엑스포에서 국내 유명 유통상품기획자(MD)를 대상으로 한 구매상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 충북도
[충북일보] 'K-뷰티의 중심' 충북에서 펼쳐진 '2017 오송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청주시 흥덕구 KTX오송역 일원에서 지난 12~16일 닷새간 펼쳐진 엑스포에는 205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총 1천272억 원 상당의 수출계약을 달성했다. 관람객도 당초 목표치인 5만 명을 66%를 초과한 8만3천여 명이 다녀가는 등 성황을 이뤘다.

충북도에 따르면 이라크, 이스라엘, 수단, 알제리, 오만, 에티오피아 등 신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노력한 결과 40개국 529명의 해외바이어 포함 1천238명(지난해 1천80명)의 바이어가 엑스포를 찾았다.

바이어와 기업 간 1대1 매칭을 통해 총 2천500회(2016년도 2천235건)의 수출상담회를 개최해 기업, 국내외 바이어, 전문가가 참여해 수출계약을 성사시키는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거뒀다.

수출상담회를 통해 린제이코스메틱이 중국 아위실업과 12억 원의 계약을 체결했고 ㈜Hnb9는 인도네시아 홈쇼핑 1위 한상기업인 레젤홈쇼핑과 30억 원 상당의 수출계약을 맺었다.

기초화장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숲코스메틱도 한국 화장품 전문수입 무역업체인 중국 산둥성 청도시 소재 유미무역(대표 박학용)과 10억 원 상당의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해외시장 개척과 함께 국내시장 판로개척을 위해 올해 처음 시도한 국내 유명 유통대기업 MD초청 구매상담회는 우수한 제품을 생산해 내는 강소기업에는 국·내외 판로를 넓기는 절호의 기회가 됐다.

국내 유명 유통상품기획자(MD) 초청 구매상담회에서는 총 145건, 449억 원의 구매상담이 이뤄졌으며 자연지애, 태남메디코스, 트로이아르케, 지엘컴퍼니 등이 롯데마트, 인터파크, 농협하나로유통 등과 97억 원의 구매계약을 체결했다.

화장품기업의 기능성 제품을 저렴하게 판매한 마켓관에서는 지난해(12억3천만 원)보다 18% 증가한 14억5천만 원이 넘는 판매실적을 거뒀고 글로벌 바이오코스메틱 콘퍼런스, 과학기술 여성 리더스포럼, 코스메틱 콘서트 등을 통해 각 기업과 바이어, 화장품 관계자들이 글로벌 화장품 시장의 최근 동향을 한자리에서 파악하기도 했다.

이시종 지사는 "이번 엑스포를 통해 K-뷰티 원조인 충북이 화장품뷰티산업의 메카로 세계에 우뚝 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 안순자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네티즌의견 0

Guest
0 / 300 자
선택된 파일 없음 파일 선택
등록하기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