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8.3℃
  • 맑음강릉 15.9℃
  • 구름조금서울 18.6℃
  • 맑음충주 19.0℃
  • 맑음서산 16.3℃
  • 맑음청주 19.4℃
  • 구름조금대전 17.9℃
  • 구름조금추풍령 17.2℃
  • 맑음대구 21.9℃
  • 맑음울산 18.0℃
  • 맑음광주 17.3℃
  • 맑음부산 18.6℃
  • 맑음고창 13.9℃
  • 맑음홍성(예) 18.7℃
  • 구름조금제주 14.9℃
  • 구름조금고산 11.9℃
  • 맑음강화 15.0℃
  • 구름조금제천 17.6℃
  • 구름조금보은 17.9℃
  • 맑음천안 17.6℃
  • 맑음보령 15.9℃
  • 맑음부여 19.3℃
  • 구름많음금산 17.0℃
  • 맑음강진군 17.8℃
  • 구름많음경주시 19.9℃
  • 맑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병원에 간호사가 없다 - 환자보다 경영이 우선인 병원

충북 도내 종합병원 대부분 충원 기피 현상
병상 2.5개당 간호사 1명인 1등급 병원 '전무'

  • 웹출고시간2014.04.08 20:05:59
  • 최종수정2014.04.09 03:05:10
충북도내 종합병원 대부분이 경영비 절감을 이유로 법정 간호인력 충원을 기피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일부 병원에서는 간호사 업무의 부족분을 의료법상 진료행위가 불가한 간호조무사로 메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대학병원보다는 중소병원이, 수도권보다는 지방일수록 심각하다.

현행 의료법을 보면 의료인으로 규정돼 있는 간호사는 환자 병세 관찰 및 보고, 투약 및 주사 등 진료업무 보조, 검체 채취 및 측정 등을 담당하며, 간호조무사는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에 따라 간호보조와 진료보조의 업무만 할 수 있다.

청주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간호 인력은 의료 서비스의 질과 직결된다. 확보된 간호 인력에 따라 수가를 차등지급하는 간호등급제가 시행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제도는 병원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간호사 1인당 병상 수를 기준으로 1~7등급을 매겨 등급이 높으면 가산점을 부과하고, 낮으면 입원료 삭감 등의 벌칙을 적용한다.

일반병동(종합병원 기준) 병상 2.5개당 1명의 간호사를 보유하면 1등급, 병상 3개당 간호사 1명이면 2등급, 3.5개당 1명이면 3등급이 주어진다.

최하 등급인 7등급은 간호사 1인당 병상 수가 6개 이상인 병원으로, 심평원의 입원료 보험급여지급 시 최소 2%에서 최대 5%의 감산을 받게 된다.

간호 3등급과 7등급인 종합병원의 입원비을 예로 들어보자. 3등급 종합병원 6인실 병상 기준 1일 입원비는 4만4천670원이다. 이 중 20%인 8천934원은 환자가 부담하고 나머지 80%는 건강보험공단이 보전해주고 있다.

간호 7등급인 병원의 1일 입원비는 5%가 감산된 금액인 3만3천710원으로 환자가 6천742원을 부담한다.

이용자측면에서 보면, 3등급 병원이 7등급 병원보다 입원비가 조금 비싸지만 질 좋은 간호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병원들은 인건비를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 4~5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청주만 봐도 1등급인 병원은 단 한 곳도 없다. 2등급 역시 마찬가지다. 그나마 3등급의 경우 충북대병원(상급병원 기준)과 청주의료원, 청주성모병원 등 3곳 뿐이다.

청주지역 한 개원의는 "고임금의 간호사를 더 뽑기보다는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간호조무사를 고용하는 병원이 많다"며 "간호조무사는 간호관리료 산정에 포함되지 않아 등급이 낮아지는 불이익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조무사를 쓰는 게 병원경영상 이득"이라고 귀띔했다.

종합병원 한 관계자는 "간호인력 부족현상은 전국의 종합병원이 겪는 문제"라며 "환자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간호 인력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고 했다.

/ 이주현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