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1.8℃
  • 맑음서울 16.1℃
  • 맑음충주 14.1℃
  • 구름많음서산 13.8℃
  • 맑음청주 15.0℃
  • 맑음대전 16.0℃
  • 맑음추풍령 12.7℃
  • 구름조금대구 14.0℃
  • 구름조금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15.4℃
  • 구름조금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12.0℃
  • 구름많음홍성(예) 14.5℃
  • 흐림제주 12.4℃
  • 구름많음고산 10.6℃
  • 구름조금강화 12.8℃
  • 구름조금제천 14.1℃
  • 맑음보은 14.0℃
  • 맑음천안 14.3℃
  • 구름조금보령 12.2℃
  • 구름조금부여 15.3℃
  • 구름많음금산 15.3℃
  • 구름많음강진군 15.0℃
  • 맑음경주시 13.1℃
  • 구름조금거제 14.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오송역세권 '낮은 보상가' 논란 예고

3.3㎡당 감정가 논 52만원, 대지 183만원 꼴
주변 거래·보상가보다 낮아…지주반발 예고
시군 추가출자·민자유치에 난항 '산 넘어 산'

  • 웹출고시간2013.07.02 20:16:4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우여곡절 속에서 청주시 출자가 확정된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이 이번에는 3.3㎡당 평균 보상가를 놓고 충북개발공사와 지주(地主) 간 심각한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

일단 충북개발공사와 주민대책위가 상호 양보 속에서 원만한 보상가 타협이 시급하지만, 곳곳에서 보상가 마찰이 빚어질 수 있는 문제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충북도와 충북개발공사 등에 따르면 오송역세권 중심부 개발면적은 64만9천176㎡이다.

지난 2012년 공시지가 대비 180%를 적용한 예정 보상가 총액은 1천396억 원 정도로 환산되고 있다. 이를 다시 3.3㎡당 보상가로 환산하면 71만 원에 달한다.

문제는 가장 높은 가격이 예상되는 대지와 오송역세권 중심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논 등에 대한 지목별 보상가를 환산하면 양측 간 상당한 이견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 면적 대비 44.9%인 29만1천999㎡(8만8천500평)의 논에 대한 예정 분양가는 ㎡당 15만8천 원, 이를 3.3㎡로 환산하면 52만2천원에 달하게 된다.

이는 역세권을 비롯한 오송 바이오밸리 일원 논 거래가격이 3.3㎡당 70만 원을 상회하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상당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중심부 전체에서 12.3%인 7만9천853㎡(2만4천197평)에 달하는 대지는 ㎡당 55만6천 원, 3.3㎡당 183만5천 원꼴로 검토되고 있다.

이럴 경우 세종시~오송 간 BRT 도로를 건설하면서 확정된 대지 보상가 3.3㎡당 225만 원과 비교할 때 턱없이 낮은 금액으로 해석될 수 있다.

더욱이 현재 검토되고 있는 보상가는 지난해 공시지가 대비 180%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올해 공시지가를 반영하고, 주변 시세을 감안한 감정가를 책정하는 과정에서 충북개발공사와 지주 간 격렬한 논쟁을 불러올 수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충북도와 청주시, 청원군 등은 오송역세권 중심부 총 사업비로 3천100억 원을 확정해 놓고, 추가로 소요될 수 있는 재원마련 대책을 수립하지 않고 있다.

총 사업비 3천100억 원 가운데 보상비 1천400억 원이 빠져 나가고 토목공사비 700억 원과 간접비용(금용비용) 400억 원 등을 감안할 때 여유자금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엎친데덮친격으로 연말까지 민자(民資) 1천500억 원에 대한 투자유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그야말로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이 공염불에 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역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총 사업비 3천100억 원이 훨씬 늘어날 수 있고 반대로 다소 줄어들 수 있지만, 최근까지 개발사례를 볼때 감소한 현장은 없다"며 "아무리 지주들의 양보를 요구한다고 해도 주변 보상가와의 형평성 논란이 제기될 수 있고, 청주시와 청원군의 추가출자를 요구하기도 어렵다는 점에서 오송역세권 사업은 '산넘어 산'이다"고 분석했다.

/ 김동민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