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1.8℃
  • 맑음서울 16.1℃
  • 맑음충주 14.1℃
  • 구름많음서산 13.8℃
  • 맑음청주 15.0℃
  • 맑음대전 16.0℃
  • 맑음추풍령 12.7℃
  • 구름조금대구 14.0℃
  • 구름조금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15.4℃
  • 구름조금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12.0℃
  • 구름많음홍성(예) 14.5℃
  • 흐림제주 12.4℃
  • 구름많음고산 10.6℃
  • 구름조금강화 12.8℃
  • 구름조금제천 14.1℃
  • 맑음보은 14.0℃
  • 맑음천안 14.3℃
  • 구름조금보령 12.2℃
  • 구름조금부여 15.3℃
  • 구름많음금산 15.3℃
  • 구름많음강진군 15.0℃
  • 맑음경주시 13.1℃
  • 구름조금거제 14.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주공항·오송역 개명 주장 '주객 전도'

대전·충남권 제기에 충북 소극적 대응
도내서는 정제되지 않은 동조 논리까지
'지역 정체성 혼선' 우려 목소리 확산

  • 웹출고시간2013.06.24 20:30:21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개명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오송역(왼쪽)·청주국제공항 전경

전국 대비 경제규모가 3% 안팎에 그치고 있는 충북의 자존심인 청주국제공항과 KTX 오송분기역에 대해 개명(改名) 주장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지역 정체성 혼선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지역 경제계에 따르면 대전·충남권은 최근 청주국제공항 명칭을 '세종국제공항'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단 세종시 연계성을 강화하고 충청권을 대표하는 공항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논리가 전제된 주장으로 해석된다.

도내 일부에서도 세종국제공항과 함께 청주·세종공항, 충청공항, 청주·충청공항까지 거론하는 등 일부 정제되지 않은 동조 논리가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 2월에는 KTX 오송역과 별도로 세종역 설치 주장이 제기됐고 다행히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최근에는 오송역을 세종역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읍(邑) 단위에 불과한 오송역을 시(市) 단위인 세종역으로 변경해 글로벌 KTK 분기역으로 바꿔야 한다는 그럴싸한 명분까지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개명' 주장의 뒷배경을 보면 대전·충남권의 편협된 발상이 곳곳에서 엿보이고 있다.

청주국제공항의 경우 제주도 전용공항으로 전락할 만큼 국제노선이 지극히 제한적인 데다, 국제노선도 계절별로 오락가락 편성되는 등 '동네공항'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충청권 지자체는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처방책은 고사하고, 고작 지자체 해외교류시 청주공항 이용 등 제한적인 자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항 시설노후 등 기본적인 문제에 대해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의지는 보이지 않고, 필요할 때에만 '개명'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정치적 이해타산에 함몰된 상태다.

특히 당사자격인 충북도는 긴급 현안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 채 논란이 과열되면 담당 국장이 '언론브리핑'을 통해 입장을 밝히는 등 소극적인 처신에 그치고 있다.

KTX 오송역세권 조기개발과 관련해 충북도가 한계를 보이고 있지만, 대전·충남권과 세종시권은 아예 남의 일로 치부하고 있다.

오송 바이오밸리의 핵심인 첨단의료복합단지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유명병원 유치가 시급하지만, 충청권은 공조는 고사하고 엇박자를 드러내고 있다.

심지어 세종시는 의료산업 집적화라는 기본적인 원칙을 무시한 채 서울대병원 등 국내·외 유력병원 유치에 발벗고 나서는 등 되레 오송 첨복단지를 긴장시키고 있을 정도다.

국내·외 대형병원 유치를 통해 첨복단지 효과는 물론 청주·청원권 인구까지 끌어들이는 이른바 '블랙홀 전략'를 공공연하게 구사하고 있는데도 충북도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지역의 한 원로급 인사는 "청주공항, 오송역 등 지역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SOC에 대해 무분별하게 이름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충북의 정체성을 심각하게 흔들어 놓을 수 있다"며 "이처럼 허울뿐인 '개명 논란'은 청주공항·오송역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고, 소지역 간 이전투구를 부채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김동민기자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