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충주 23.8℃
  • 구름조금서산 26.0℃
  • 구름조금청주 25.2℃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추풍령 23.4℃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홍성(예) 26.0℃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많음고산 25.8℃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제천 22.2℃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천안 24.0℃
  • 구름조금보령 26.1℃
  • 흐림부여 22.9℃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2.02.16 18:09:25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지역 레미콘 업계가 오는 22일 조업 중단을 예고하고 있다. 시멘트 가격 인상을 둘러싼 갈등에 따른 것이다.

레미콘업계와 시멘트업계가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할 경우 이날부터 레미콘 생산 중단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레미콘 생산이 중단될 경우 공사 현장이 멈추는 극단적 상황에 돌입할 우려가 크다.

충북에선 청주 성화지구와 율량 2지구 아파트 건축현장 등에서 피해가 발생할 공산이 크다. 전국 레미콘업체가 '동맹파업'을 선언한 만큼 일반 토목현장과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큰 혼란을 겪을 것이 자명하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시멘트업계의 가격인상에 있다. 시멘트업계는 지난 1월부터 시멘트 가격을 15% 인상했다. 지난해 6월 t당 5만2천원이던 시멘트 가격이 6만7천500원으로 30%나 올랐던 상황에서 이번에 15%(1만원)가 올라 지난 7개월 사이에 50% 가량 인상된 것이다.

이럴 경우 레미콘 업체들은 가동원가에서 10% 적자가 발생해 적어도 16% 가량 레미콘 가격을 인상해야 한다.

건설경기 침체에 빠진 건설사들은 절대 올려 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경영이 힘든 시멘트업계도 인상안을 고수하고 있어 레미콘업계는 그야말로 샌드위치 신세다.

레미콘 시장을 보면 답답하기 짝이 없다.

지난 5년 동안 물류비용과 생산원가는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지만 납품가격은 제자리걸음을 계속하고 있다.

레미콘의 납품시스템을 살펴보면 시멘트 등 원자재 생산업체도 대기업인데다 건설업체도 대부분 대기업이어서 고래싸움에 낀 새우 꼴로 양쪽 눈치만 보고 있는 처지다. 원가가 아무리 올라도 납품가격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여기에다 시장은 이미 절정기를 지나 빠른 속도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원부자재 값과 관리 및 인건비, 물류비 등을 빼면 남는 게 없다는 것이 레미콘업계의 하소연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런 상황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데 있다. 지난 1990년대 초 정부의 '주택 200만호 사업'과 같은 획기적인 건설 사업이 추진되지 않는 한 레미콘 수요는 감소할 게 뻔하다. 설사 건설경기가 좋아진다고 해도 수요 증가에는 한계가 있다. 철골조 건물 증가, 유지보수 증가 등 건설 환경 자체가 콘크리트를 적게 사용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레미콘업계는 시멘트사나 건설사를 향해 경영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심지어는 공장가동 중단이라는 초강수까지 단행하며 공동판매 카르텔 인정, 중소기업 적합업종 품목 지정 등 정책적인 지원책을 강하게 요구했다. 업계의 이런 요구들은 레미콘업계를 보호해야 한다는 논리에서 비롯됐다.

시멘트 대 레미콘의 대립구도가 아니라 시멘트와 레미콘의 동반관계 설정을 위한 양 업계의 소통이 중요한 때다. 원가절감과 경영효율화만으로 경쟁력을 갖추기가 쉽지 않은 시장상황에서 생존의 길을 어떻게 찾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우선 양 업계는 서로 한발씩 양보해 물량감소라는 한파에 대비했으면 한다. 신기술을 개발하고 품질을 끌어올릴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 지속성장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와 건설업계도 양업계를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우리는 해마다 반복되는 이 문제에 대해 정부가 나서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해 줄 것을 촉구한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