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6.6℃
  • 구름많음서울 5.0℃
  • 구름많음충주 0.6℃
  • 구름조금서산 3.9℃
  • 구름조금청주 4.4℃
  • 맑음대전 2.7℃
  • 맑음추풍령 1.7℃
  • 구름조금대구 4.3℃
  • 구름조금울산 6.3℃
  • 구름많음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9.6℃
  • 구름조금고창 3.8℃
  • 구름조금홍성(예) 1.5℃
  • 구름조금제주 14.0℃
  • 구름조금고산 13.1℃
  • 구름많음강화 1.8℃
  • 구름많음제천 -1.2℃
  • 맑음보은 0.1℃
  • 구름많음천안 0.4℃
  • 맑음보령 5.5℃
  • 맑음부여 0.6℃
  • 맑음금산 1.2℃
  • 구름많음강진군 6.8℃
  • 구름조금경주시 3.2℃
  • 구름조금거제 7.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0월 2일 노인의 날- 1. 역삼각형 인구구조 심화

생산인구 감소 노인인구 증가… 충북경제 5% 걸림돌
15~64세, 내년 기점 ↓
65세 이상은 꾸준히 ↑
2024년 20.5% 차지
생산력 저하 불보듯
재취업 외 대안도 없어

  • 웹출고시간2018.09.27 21:03:14
  • 최종수정2018.10.01 17:20:20
[충북일보] 충북도는 민선 7기 목표를 '전국 대비 4% 충북경제 완성, 5% 도전'으로 잡았지만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 경제발전의 핵심 축이 돼야 할 생산인구는 2019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서다.

충북 인구구조가 점차 뚜렷한 역삼각형(▽) 형태로 변화하고 있지만 지자체로서는 딱히 손쓸 방도가 없는 '멘붕' 상태다.

이에 본보는 오는 10월 2일 노인의 날을 맞아 도내 인구구조의 변화상에 대해 짚어보고, 개인·사회적 관점에서의 경제문제 해결 방안을 찾아본다.

27일 통계청의 2017년 6월 기준 연령계층별 추계인구에 따르면 지난해 충북 도내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115만 명이다.

생산가능인구는 노동가능인구라고 부르기도 한다.

노동가능인구는 경제활동인구(취업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주부, 심신장애자, 취업준비생)로 나뉘는데, 결국은 '근로를 통해 생산을 할 수 있는 인구'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충북의 생산가능인구는 도내 인구 증가와 맞물려 꾸준히 증가해 왔다.

2012년 110만2천 명으로 110만 명대에 진입, 지난해 115만 명, 올해 115만 1천 명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9년 정체기를 거쳐 2020년부터는 감소세로 접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충북의 생산가능인구(추계)는 2019년 115만1천 명으로 올해와 동일하고, 2020년은 114만7천 명이다.

이어 2021년 114만2천 명, 2022년 113만6천 명, 2023년 113만 명으로 서서히 감소하고, 2026년 109만8천 명으로 110만 명대가 붕괴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가능인구는 내년을 기점으로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충북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지난 2014년 14.2%로 고령사회에 접어들었다.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로 분류된다.

20% 이상일 경우 후기고령사회 또는 초고령사회로 불린다.

도내 65세 이상 인구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

2014년 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2015년 14.4%, 2016년 14.7%, 2017년 15.2%, 2018년 15.7%로 증가했다.

2023년 19.6%를 기록한 뒤 2024년이면 20.5%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다.

도내 인구 5명 중 1명은 '생산 불가능한' 노인이 차지하게 되는 셈이다.

문제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급격히 증가해 2033년 29%. 2034년 30.1%를 차지하게 된다.

2034년 65세 이상 인구는 52만1천 명, 15~64세 인구는 101만3천 명으로 생산가능인구 수가 고령인구의 2배가 채 되지 않는 상황이 닥친다.

노인 인구의 증가는 생산력 저하와 함께 노인 부양이라는 큰 숙제와 직결된다.

지역 내 생산을 위한 투자보다는 노인들을 위한 사회적 비용이 상대적으로 대거 투입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재편, 생산력 저하를 촉진시킨다.

충북을 비롯한 전국 지자체가 공통적으로 겪을 문제지만 뚜렷한 대안은 없다.

노인 재취업을 통한 생산력 향상과 노후생활 보장에만 몰두하는 것이 현실이다.

/ 성홍규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