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2.1℃
  • 구름많음강릉 12.4℃
  • 구름많음서울 14.4℃
  • 구름많음충주 11.3℃
  • 흐림서산 9.7℃
  • 구름많음청주 15.8℃
  • 구름많음대전 14.6℃
  • 구름많음추풍령 11.1℃
  • 구름많음대구 14.0℃
  • 박무울산 9.8℃
  • 구름많음광주 14.8℃
  • 흐림부산 12.3℃
  • 구름많음고창 15.0℃
  • 흐림홍성(예) 10.7℃
  • 박무제주 14.1℃
  • 구름조금고산 14.2℃
  • 구름많음강화 9.7℃
  • 구름많음제천 10.3℃
  • 구름많음보은 11.0℃
  • 구름많음천안 11.2℃
  • 구름많음보령 9.0℃
  • 구름많음부여 10.2℃
  • 구름많음금산 11.6℃
  • 구름많음강진군 11.3℃
  • 구름조금경주시 8.6℃
  • 구름많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2.22 17:56:16
  • 최종수정2017.02.22 17:56:16

조영희

세명대 관광학과 외래교수

옛날 어느 마을에 돌밭을 가진 부지런한 농부가 착한 아들 셋과 함께 돌밭에서 하루하루 돌을 주워 와 집 주위에 차곡차곡 담 쌓기를 시작해 3년 만에 돌담이 완성되었다. 돌담으로 둘러싸인 농부의 초가집은 더 아늑하고 평화로워 보였다. 이 농부의 초가집과 동네 제일가는 부자의 기와집이 마주하고 있었다. 부자는 늘 아침 일찍 일어나 동네를 한 바퀴 돌곤 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 농부의 돌담에 마음이 끌렸다. 아침 햇살이 퍼지기 시작하면 농부네 돌담이 금빛으로 빛이 났던 것이다. 부자의 눈에는 돌담이 금으로 보였다. 부자는 돌담이 갖고 싶어서 견딜 수가 없었고 농부를 찾아가 간절히 말했다. 둘이 살기에도 큰 기와집과 밭에 소 한 마리도 얹어 줄테니 집을 맞바꾸자고 제안하였다. 농부는 자식들과 상의 후 부자의 의견을 수락했다. 이사 후 부자는 기분 좋게 늦잠을 자고 일어나보니 돌담이 금으로 보이는 게 아니라 그저 돌담으로 보였다는 전래동화다. 이 이야기는 며칠 전 유치원에 다니는 일곱 살 조카가 가지고 온 전래동화다. 돌멩이가 황금으로 보여서 기와집과 밭과 소와 바꾼 부자의 이야기에서 느낀 점이 무엇이냐고 동생은 딸에게 질문을 하였고 다음과 같은 답을 들으며 어떻게 이해시켜야 하나를 고민했단다. "부자가 헛것을 보았다" "늙어서 잘 안보였다"는 조카의 답변에 나 또한 7살 눈높이가 무미건조한 어른과 같아지고 있나보다는 생각이 들었다. 애 엄마는 애에게서 어떤 답을 듣고 싶었던 것일까?

내 인생에서 전환점은 어머니의 죽음이었다. 전과 후의 내 사고(思考)가 확 달라졌기 때문이다. 어머니께서 돌아가시고 난 후 모든 삶이 무기력하고 사는 낙이 없었다. 아주 잠시라도 매일 통화하던 어머니의 목소리가 그립고, 자주 뵙지 못했지만 다시 볼 수 없는 슬픔이 컸었다. 그래서인지 무엇이든 심드렁해졌고 내 의견을 내세우기보다는 남의 의견에 따라주는 일이 더 많았다. 그래서인지 나는 욕심이 없다고 생각하며 살았다. 그러나 20여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그리움의 정도야 같지만 이런저런 욕심은 다시 늘어나고 있는 모양이다.

시기가 시기인 만큼 요즘 맴도는 말이 "어떻게 살 것인가"이다. 100세 시대에 앞으로 50년은 족히 더 살아질 것일 텐데 어떻게 잘 살아내야 할 것인지가 걱정이 앞선다. 그러나 나는 무기력과 의욕저하로 나태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그냥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어차피 해도 안 될 것 같아요" "내 마음대로 되는 게 하나도 없어요" "시간은 없고 할 일은 산더미인데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요"에 해당되는 것이 있다면 현재 게으름을 피우고 있다고 진단해 주었다. 잠시의 게으름은 문제가 아니지만, 이 게으름이 지속된다면 습관성 게으름이 되고, 한번 몸에 밴 게으름은 쉽게 바뀌지 않는단다. 이런 때일수록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향해 과감하게 돌진하는 힘이 필요하다지만 목표가 없는 것도 아니고 해야 할 일들은 쌓여만 있다. 정작 걱정만 앞서는 것이다.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라는 티베트 속담이 생각이 났다.

어느 분이 100세 시대의 3대 리스크로 꼽는 내용이 있다. '돈 없이 오래 살 때', '아프며 오래 살 때', '일 없이 오래 살 때'라고 한다. 100세 시대에 맞게 건강과 체력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정년이 만60세인 경우들이 많다. 딱 이때까지만 일하고 편안히 노후를 맞이한다면 경제적으로야 더할 나위 없는 평온한 삶이겠지만 삶의 목표라는 것이 다양한 사람만큼 다양할 것이다. "노동이 집안으로 들어오면 빈곤은 도망친다. 그러나 노동이 잠들어버리면 빈곤이 창으로 뛰어 들어온다." 로벨트 라이니크의 말이다. 열심히 좋아하는 일을 찾아보아야겠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