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충주 23.8℃
  • 구름조금서산 26.0℃
  • 구름조금청주 25.2℃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추풍령 23.4℃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홍성(예) 26.0℃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많음고산 25.8℃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제천 22.2℃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천안 24.0℃
  • 구름조금보령 26.1℃
  • 흐림부여 22.9℃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3.03.21 18:09:5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다지난 50년의 산업화와 압축 성장의 휴유증은 사회 곳곳에서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농촌은 소외와 절망의 뒤안길을 헤매고 있다. 수많은 농민들은 농촌을 떠났다. 농촌마을에 어린이 울음소리가 그친 지는 오래됐다. 이제 60살 노인은 청년으로 불린다.

쌀을 제외한 농산물 자립도는 4% 수준에 불과하다. 많은 농민과 단체들이 농촌을 살리고자 몸부림쳤다. 하지만 성과는 크지 않았다. 그럼에도 우리 농촌에 희망의 불씨를 당기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농촌형 일자리 창출이 대표적이다.

한국농어촌공사가 올해 총 사업비 327억 원을 투입해 지역 농업인 7만7천여 명의 일자리 창출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새 정부의 국민행복 정책을 실행하고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다. 아주 고무적인 일이다.

농어촌공사는 먼저 영농철 급수기인 오는 4~9월까지 6개월 간 240억 원을 투입해 지역 농업인 7천여 명을 계절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어 오는 12월까지 87억 원을 투입해 연 인원 7만여 명의 농어촌 지역 주민들에게 농수로 퇴적토 준설과 잡목 제거, 저수지 환경개선, 양배수장 정비 등 농업용수의 안정적 지원을 위한 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다.

이번 농어촌공사의 농촌형 일자리 창출사업은 농업인들이 영농에 종사하면서 수리시설물 점검·정비 및 안전사고 예방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체계화된 운영시스템만 갖춘다면 용수공급 서비스 제고와 이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물 공급, 농업인들의 농외수익 증대 효과 등 '1석 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충북은 아직도 농업도다. 하지만 농업 종사자가 다른 산업 종사자보다 훨씬 적다. 그러다 보니 농촌의 최대 현안은 매년 줄고 있는 '인구'와 '일자리'다. 농촌에서 농사를 짓지 않더라도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돼야 한다. 그래야 보다 많은 도시민의 귀농을 촉진시킬 수 있다.

농어촌공사와 지자체 등은 우선 농촌지역 노동인력의 유형과 규모를 파악해야 한다. 그런 다음 지역일자리지원센터와 인력양성프로그램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게 순서다. 적절한 수요와 공급은 적절한 시스템이 갖춰졌을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농촌 거주자들은 대개 농업과 부업을 겸업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의미에서 비정규직 일자리가 정규직 일자리에 비해 더 유용할 수 있다. 농업과 병행 혹은 유휴 노동력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그렇다.

농업용수 관리업무의 농촌인력 활용은 비정규직을 활용한 농촌형 일자리 창출이다. 현재 우리나라 용배수로 길이는 지구 두 바퀴 반에 해당하는 9만9천km에 달한다. 관리해야 할 농업생산기반시설만 1만3천여개에 달한다. 그러다보니 지금도 현장에서는 늘 현안 처리에 급급하다.

이런 상황에서 급수기와 비급수기를 구분해 농촌인력을 활용하려는 농어촌공사의 아이디어는 아주 좋다. 다만 견고한 시스템화가 중요하다. 급수기에는 수로의 준설과 수초제거를, 비급수기는 수문 등 시설정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시기별 맞춤형 시스템이 필요하다.

농촌은 생명이다. 농촌이 살아야 우리도 살 수 있다. 길은 본래부터 있던 게 아니다. 많은 사람이 걸어간 곳이 길이 됐다. 희망도 마찬가지다. 농촌형 일자리 창출이 소외와 절망의 땅, 농촌을 구하는 희망이 됐으면 한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