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0.4℃
  • 흐림강릉 4.3℃
  • 서울 0.6℃
  • 흐림충주 -1.8℃
  • 흐림서산 1.5℃
  • 청주 0.4℃
  • 대전 0.6℃
  • 흐림추풍령 -0.9℃
  • 대구 0.0℃
  • 울산 1.7℃
  • 광주 2.8℃
  • 부산 4.0℃
  • 흐림고창 4.2℃
  • 홍성(예) 1.4℃
  • 흐림제주 12.8℃
  • 흐림고산 11.9℃
  • 흐림강화 0.0℃
  • 흐림제천 -2.8℃
  • 흐림보은 -0.2℃
  • 흐림천안 0.6℃
  • 흐림보령 2.7℃
  • 흐림부여 0.5℃
  • 흐림금산 0.5℃
  • 흐림강진군 4.5℃
  • 흐림경주시 0.5℃
  • 흐림거제 2.8℃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5.02.10 17:32:14
  • 최종수정2025.02.10 18:41:32
[충북일보] 민불료생(民不聊生), 국민이 안심하고 살 수 없다. 연초에 홍준표 대구시장이 언급하면서 회자됐다. 중국 전한 시기 사마천이 쓴 사기(史記)에 등장한다. 현실을 맞춤하게 풍자한다.

*** 건설경기 하락하면 고용 준다

건설업 빙하기다. 벌써 수년째다. 당분간 더 이어질 것 같다. 충북의 경우 이미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다.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지역건설사들의 입지가 더 줄어든다는데 있다. 줄어든 발주 물량조차 지역 몫이 아니다. 대부분 자본력과 경쟁력을 갖춘 대형건설사들이 차지할 판이다.

긴축재정은 지역에 악재로 작용했다. 산업별 충북 취업자 수를 보면 건설업계의 부진이 두드러진다. 충청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결과에 따르면 그렇다. 지난해 12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6만9천 명이다. 지난해 같은 달 보다 17.5%(1만5천 명) 감소했다. 관련산업 취업자 수도 줄었다.

전국 종합건설업체 폐업이 1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제위기의 심각성을 다시 입증한 셈이다. 건설업 활성화는 이제 전국의 동일한 지상과제다. 특히 지역건설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은 아주 크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모두 함께 나서야 한다. 충북도 등 지자체의 방향성도 분명해야 한다.

건설경기의 침체는 필연적이다. 기상예보처럼 갑자기 성큼 다가온 겨울한파 같다. 하지만 과거와는 차원이 다르다. 기간도 가늠할 수가 없다. 대비하지 못해 체력도 키우지 못했다. 그래서 경기 한파가 더욱 고통스럽다. 고통을 견디며 쫀쫀하게 준비해야 살 수 있다. 아주 작은 일까지도 세세히 신경 써야 한다.

지금의 건설경기 침체는 다른 어느 때보다 심각하다. 경기 불황으로 버텨온 고난의 시간이다. 위기로 보는 게 맞다. 건설업계에 우울한 소식은 새해 벽두부터 잇따랐다. 대형 건설업체들의 법정관리 소식이 우울하게 한다. 보다 적극적인 정부의 대응 정책이 있어야 한다. 정치권과 정부가 해결책을 내놔야 한다.

지방 중소·중견 건설사의 위기감은 심각하다. 현장에서 느끼는 심각함은 훨씬 더하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지난해 부도가 난 건설사는 29곳이다. 이 가운데 86.2%인 25곳이 지방 업체다. 충북엔 지난 1월말 현재 906곳의 업체가 등록돼 있다. 건설공사 수주율은 최하위권이다.

건설업은 단순히 한 업종의 문제가 아니다.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산업이다. 건설업 경기가 하락하면 고용이 줄어든다. 지역 내 소비와 투자도 위축된다. 결국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이어진다. 건설업의 위기는 연관 산업의 도미노 붕괴를 촉발한다.

*** 보다 적극적인 정부 정책 필요

건설업 위기의 주요인은 대략 4가지다. 첫째, 일감 부족이다. 둘째, 자재 값이 너무 올랐다. 셋째, 인력이 부족하다. 넷째, 건설업에 대한 각종 의무사항과 규제가 너무 많다. 바람을 눈으로 볼 수는 없다. 바람을 보려면 바람이 만지고 흔드는 사방팔방의 물건을 봐야 알 수 있다. 경제는 국민의 생활을 보면 알 수 있다.

온 나라가 북풍한파로 꽝꽝 얼어붙었다. 한 번 내려간 온도계가 올라올 줄 모른다. 가을단풍은 제 색깔을 내기도 전에 쪼그라들었다. 그런데 입춘이 지나도 잎을 떨어트리지 못하고 있다. 봄을 기다리는 2월이다. 춘래불사춘, 아직 너무 춥다. 정부가 먼저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적극 나섰으면 한다. 천천히 서둘러보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