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2℃
  • 구름많음강릉 15.1℃
  • 맑음서울 17.4℃
  • 맑음충주 18.3℃
  • 맑음서산 16.8℃
  • 맑음청주 19.4℃
  • 구름많음대전 17.3℃
  • 구름조금추풍령 17.6℃
  • 구름조금대구 21.7℃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3℃
  • 맑음부산 17.4℃
  • 맑음고창 13.8℃
  • 맑음홍성(예) 18.7℃
  • 구름조금제주 15.6℃
  • 구름조금고산 13.4℃
  • 구름조금강화 16.0℃
  • 구름조금제천 17.4℃
  • 구름많음보은 17.5℃
  • 맑음천안 17.9℃
  • 맑음보령 16.8℃
  • 구름많음부여 17.7℃
  • 구름많음금산 17.1℃
  • 맑음강진군 18.1℃
  • 구름조금경주시 23.4℃
  • 맑음거제 17.6℃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7.24 15:51:44
  • 최종수정2016.07.24 15:51:44

조혁연 객원 대기자

보은군이 말티고개에 '속리산 수학여행 1번지'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말티고개 하면 떠오르는 것이 '꼬부랑 길'이다. 말티고개의 노폭을 확장하고 선형 개량을 처음 시도한 관료는 1920년대 충북도지사를 지낸 박중양(朴重陽·1872-1959)이다.

박중량의 일본식 이름은 '호추시게요'(朴忠重陽)로, '신념적 친일파'라고 불릴 정도로 친일의 행각이 뚜렷하다. 1923년 2월 충청북도지사에 부임한 박중양이 말티고개 확장공사를 처음으로 하게 된 데는 유람을 좋아하는 그의 성격이 작용했다.

1923년 4월 17일자 <동아일보> 기사에 의하면 박중량은 도내 순시를 이유로 화양동 등 괴산군내 명승지를 무려 7일 동안 구경하고 도청으로 돌아왔다. 그가 말티고개를 넘으려 한 것은 역시 법주사를 유람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비롯됐다. 그는 말티고개 입구에 이르러 소를 끌어오도록 명령했고, 그 이유는 "도지사인 내가 어찌 흙을 밟을 수 있느냐"였다.

<동아일보> 6월 16일자. '임농부역에 분노한 농민, 기수와 순사를 난타' 등의 제목이 보인다.

'당대의 일도 소관으로서 엇지 차에서 내려 흙을 발브랴하는 생각이 드럿는지 박중양 씨는 긔어코 차에서 나리지를 안코 촌가에 가서 소를 꺼러다가 자동차를 꺽러넘기게 한 결과 겨우 도지사의 위엄은 직히게 되얏섯다.'-<동아일보 1923년 6월 16일자>

박중양은 바로 이때 당시 김재호 보은군수에게 군민 부역을 통해 말티고개 노폭을 확장하도록 명령했다.

'지사의 명령이라 일개 군수로서 억이는수업스닛가 김군수는 즉시 금월 초순부터 부역을 푸퍼 공사를 시작하얏는대 본시 이 고개는 비록 자동차는 통행치 못하나 인마는 임의로 통행되는 곳이며 그 고개는 다만 속리산 법주사 외에는 다시 통한 곳이 업는 주요치 안은 길이엇다.'-<〃>

6월 중순은 폭염이 막 시작되는 시기로, 군민들을 부역에 동원하기에는 계절적으로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회남과 회북면민들은 백리를 걸어서 말티고개의 부역장으로 출퇴근을 해야 했고, 날이 갈수록 불만이 누적됐다.

'그러나 지사의 분부임으로 전군 만여호의 부역을 풀게 되는 때는 마참 첫 여름임으로 농가의 뎨일 밧분 때이다. 일반 인민들은 백성의 생명을 보장하는 농사를 못짓게 하고 이 길을 닥글 지급한 필요가 어대잇는가 하야….'-<동아일보 1923년 6월 16일자>

이같은 불만은 보은지역 부역자들이 당시 일본 토목기사와 순사를 집단 구타하였고, 그러자 충청북도 경찰부까지 출동하는 사건으로 발전하였다.

'삼백여명 인민들은 마참내 그 기수에게 몰녀드러 란타를 하고 그 싸흠을 말니랴하든 순사 세 사람까지 란타를 하야 중상을 당하게 하얏다. 이 급보를 들은 보은경찰서는 충청북도 경찰부의 응원까지 청하야 전원 총출동으로 현장에 급행하야 임의 사십여명을 검속하고 목하 계속 검거 중이니 사건의 전도는 매우 위험다라더라(보은).'-<〃>

말티고개는 고려 태조 왕건, 조선 세조 등 전통시대 국왕들이 찾았던 유서 깊은 곳이다. 그러나 이상에서 보듯 말티고개는 일제강점기 보은군민들이 대거 동원돼 도로확장 부역을 했던 애환의 고개이고, 일본 토목기사·순사에 항거했던 저항의 공간이기도 하다.

말티재 전시공간에는 이런 내용들이 모두 들어가야 할 것으로 보이다. 그나저나 말티재 정상에 있던 비석들이 꼬부랑 길 조성후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 않고 있다.

/ 충북대학교 사학과 초빙교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