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01.15 16:07:55
  • 최종수정2023.01.15 17:59:24

안종태

충북도곰두리(장애인)체육관장

지난해 12월 초쯤으로 기억되는 어느 날 오랫동안 사회복지현장에서 함께 호흡하고 연대해 오고 있는 사회복지사 아우님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그에 대한 나의 호칭은 늘 박사였기에 그날도 여일처럼 "O 박사 어쩐 일이신가?"라고 반가움을 듬뿍 담아 안부를 물었다. 그는 온기가 묻어나는 목소리로 "형님! 별일 없으시지요?"라고 살가운 인사를 전한다.

이렇게 시작된 일상적인 통화 내용은 그리 길지 않는 시점에 일상적이지 않는 어쩐 일이 되어 나의 귓전을 울렸다. 결론인즉 일간 신문사에서 준비하고 있는 새해 오피니언 칼럼진으로 나를 추천했다는 것이었다.

지난 세월 30년 넘게 사회복지현장에 있으면서 이런저런 사연으로 여러 신문사의 칼럼진 참여를 권유받았으나 일상의 생각을 글로 옮기는 솜씨가 미천하여 늘 정중하게 사양해 오던 일인데 순간 이게 무슨 일인가 싶었다.

이런 나의 거절의 성향을 누구보다는 잘 알고 있던 아우님은 조만간에 신문사에서 연락이 갈 것이라며 추천한 자기 입장을 보아서라도 거절하면 안 된다고 미리 선수를 치면서 그 어떤 핑계와 이유도 통하지 않을 빼박의 길로 나를 몰고 있었다.

이쯤 되면 항복하는 것이 맞다 싶었다 "그래 알았어요. 투박하고 부족할지 모르겠지만 온기가 있는 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볼게요." 다짐의 약속을 끝으로 휴대폰을 내려놓고 잠시 생각에 빠져든다. 그 생각의 뒤편에는 벌써 글의 주제 선정과 졸고에 대한 두려움이 커져가고 있었다.

이러한 두려움의 끝은 일상을 글로 옮기는 것이 유일한 재주라는 예쁜 후배가 생각나는 시점과 순간 맞닿고 있었다. 내가 읽어 보아도 늘 맛깔나면서도 담백한 글로 일상의 이야기를 거침없이 담아내는 그의 글 솜씨가 아마도 나에게 늘 경외의 대상이었기 때문이지 싶다.

며칠이 지났을까 낯선 번호의 전화가 걸려온다. 수화기 너머로 밝게 인사는 전하시는 분은 다름 아닌 신문사 편집팀 칼럼 담당 기자분이셨다. 통성명과 함께 가벼운 세밑 덕담을 나누고 나니 한 해 동안 내가 참여하게 될 칼럼 지면에 대해 설명을 해 주시겠다고 한다. "잠시만요" 나의 짧은 한마디에 수화기 너머로 내가 메모를 하려는 모습이 보였나 보다 "메모 안하셔도 돼요." "제가 내일 오전까지 통화 내용을 자세히 정리해서 메일로 보내 드릴게요"라는 기자분의 말에 순간 마음이 편해지면서 통화 내용에 집중하는 나를 인지하게 된다.

다음날 아침 출근하자마자 일과적으로 확인한 메일에는 내가 한 해 동안 연재라는 방법으로 함께 할 지면 상의 공간은 '아침을 열며'이고 연재 예정일은 매월 셋째 주 월요일이라는 것과 주제는 자유롭게 수필 또는 에세이 형식으로 작성하며 된다는 등의 원고 연재 일정과 관련된 내용이 자세하게 담겨 있었다.

이러한 메일 내용 중에 연재 코너를 보는 순간 스치듯 1월의 연재 원고 제목을 정했다. '아침을 열며 새해를 시작하다.' 내가 정한 1월의 연재 원고 제목이다. 나의 계묘년 새해는 '아침의 열며'라는 코너에 집필진으로 참여하게 된 소회를 담아 새해를 시작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개인적 소회로 1월의 한편을 마무리하고 나면 남은 11편의 '아침을 열며' 에 내가 담아낼 수 있는 원고 주제와 내용은 극히 제한적이고 많이 부족하겠지만 오랫동안 우리 지역 안에서 열심히 소임에 충실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동료들의 이야기나 그들에게 주어진 사회적 책무 등 사회복지현장 전반에 대해 써볼까 한다. 앞으로 1년 동안 글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한 해의 끝에 생각과 마음이 많이 성장한 나를 발견할 수 있으리라 자위하며 사회복지사 동료들과 함께 주어진 지금의 역할을 다해 보고자 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