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충주 23.8℃
  • 구름조금서산 26.0℃
  • 구름조금청주 25.2℃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추풍령 23.4℃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홍성(예) 26.0℃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많음고산 25.8℃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제천 22.2℃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천안 24.0℃
  • 구름조금보령 26.1℃
  • 흐림부여 22.9℃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08.10.07 18:26:08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글로벌 신용경색의 심화로 원.달러 환율이 폭등하고 주가는 추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패닉(공황상태)에 빠지면서 기업들은 자금 조달줄이 막혀 아우성이다. 물가는 가파르게 오르고 수입은 갈수록 쪼그라 들자 많은 국민들은 `제2의 IMF(국제통화기금)사태'가 오는 것이 아니냐며 걱정을 하고 있다. 환율도 그렇고 모든 상황이 IMF 직전과 비슷하게 돌아가는 것 같다고 해서 그렇게 느끼는 것 같다. 정부가 얼른 나서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할만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불안감과 혼란이 가중될 것 이 뻔하다. 국정감사에서도 경제상황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지만 당국자들의 입에서 명쾌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한마디로 대책이 없다는 증거이다.

주식, 환율 불안뿐만 아니라 금리도 덩달아 급등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의 부실화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금리 인상은 서민들의 허리를 휘게 만드는 직격탄이나 다름 없기에 그 파장이 어디까지 갈지 예측이 어려워 보인다.

당연히 국내외 자금시장이 얼어붙고 은행들이 돈줄을 죄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가릴것 없이 자금난을 겪고 있다.

한국은행이 2천163개 제조업체를 조사한 결과, 대기업의 자금사정 실사지수(BSI)는 지난 5월 96에서 7월 89, 8월 85로 크게 떨어졌다. 국내외 경기 부진과 금융시장의 불안이 수익성 저하로 이어지며 자금 사정이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은 더 심각하다. 은행들의 중소기업 대출 증가액은 올해 2분기 6조5천억 원에서 3분기 3조9천억 원으로 뚝 떨어졌다. 중소기업의 회사채 발행액은 8월 70억 원으로 전달보다 75% 급감했다.

은행들이 경기 악화를 우려해 대출 심사를 강화할 계획이기 때문에 기업들의 자금난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에서의 경기활황 체감은 제조업보다 건설업에서 판가름 난다. 공사수주부터 감리까지 우선 인력의 고용효과가 크고 그만큼 지역사회의 실물경제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기 때문에 그렇다.

그러나 근래 건설업계의 비명이 커지고 있지만 이렇다 할 대책이 나오지 않아 지역의 어려움이 더 많아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국 금융쇼크로 촉발된 불안감이 나라 전체는 물론 지역건설업계를 강타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국의 특단 대책이 없을 경우 현금 확보에 비상이 걸린 지역 건설업체의 연쇄부도가 우려된다고 내다봤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엊그제 지역의 중견 건설업체가 부도가 났으며 몇몇 건설업체도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지금 같은 분위기로는 은행권 추가대출 금지는 물론이고 기존 대출금도 회수에 열을 올릴것이 분명하므로 부도 도미노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충북지역 일반 건설업체는 약 6백여개인데 발주되는 공사가 없어 단 한건의 공사 수주도 못한 업체가 수두룩하고 그 여파로 올해만 6개가 부도를 냈다. 1천2백여개의 전문건설업계도 이들로부터 하청을 받기 때문에 덩달아 피해가 불가피 하다. 그런 이유로 업계는 10년전 외환위기 이후 잘나가던 건설업체 들이 연쇄부도로 쓰러진 악몽을 되뇌이고 있기도 하다.

과거 같으면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제일먼저 취한 조치가 공공기관 공사 물량 조기발주 였으나 그도 거의 자취를 감췄고 매년 효자 노릇을 했던 수해복구 공사도 올해는 없었다. 이래저래 악재만 쌓인 격이다.

지자체는 이같은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특단의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단순히 시장경제 논리로 기업에만 맡겨놓지 말고 원부자재와 일용직 인부 공급, 임금 순환 등의 지역경제 활성화 요인을 감안한다면 왜 당국자들이 건설업을 살려야 하는가 간단히 답이 나온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