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5.3℃
  • 맑음강릉 15.2℃
  • 흐림서울 16.6℃
  • 맑음충주 13.1℃
  • 맑음서산 14.3℃
  • 맑음청주 17.4℃
  • 맑음대전 17.7℃
  • 맑음추풍령 11.6℃
  • 박무대구 14.5℃
  • 맑음울산 16.8℃
  • 맑음광주 16.7℃
  • 박무부산 16.9℃
  • 맑음고창 16.4℃
  • 맑음홍성(예) 17.1℃
  • 맑음제주 23.0℃
  • 맑음고산 15.4℃
  • 맑음강화 12.1℃
  • 맑음제천 11.1℃
  • 맑음보은 12.0℃
  • 구름많음천안 17.7℃
  • 맑음보령 14.3℃
  • 맑음부여 13.7℃
  • 맑음금산 17.6℃
  • 맑음강진군 15.2℃
  • 맑음경주시 13.2℃
  • 맑음거제 16.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용비어천가 지명 충주 '쇠벼라', 그 정체는

충대 조항범교수 새주장
충주 탄금교 서쪽 '쇠꼬지'와 강한 친연성
그 뜻은 '沼를 접하면서 벼랑으로 난 돌길'
땅길·물길의 충주역사 잘 상징 복원 필요

  • 웹출고시간2012.07.30 18:29:54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쇠벼라'가 나있던 곳으로 추정되는 지도 모습이다. 지금은 희미한 흔적만 남아 있으나 탄금교 서쪽의 쇠꼬지에서 누암리까지 나있던 '물가 벼랑의 돌길'로 추정된다.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고지명 '쇠벼라'는 탄금교 서쪽의 쇠꼬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그 뜻은 '소(沼)에 접한 벼랑을 따라 난 돌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세종 27년(1445)에 편찬된 용비어천가에는 한강의 물줄기가 통과하는 주요 지점의 지명이 등장해 있다.

내용 중에 '其一源自江原道五臺山 (중략)達川달내合爲淵遷쇠벼라…라는 문장이 쓰여 있다.

직역하면 '이 강의 한 근원은 강원도 오대산으로부터 (중략) 達川(달내)과 합쳐서 淵遷(쇠벼라)이 되고…' 정도가 된다.

'쇠벼라'와 '벼라'의 중세고어 표기

태조실록과 세종실록지리지에도 '쇠벼라'를 표기한 한자 표현인 '淵遷'(연천)이 다섯 차례 등장한다.

'置水路轉運所完護別監 自龍山江至忠州淵遷凡七所 每所隷戶三十'(수로전운소 완호 별감을 두었다. 용산강으로부터 충주의 연천까지 무릇 일곱 소에 각각 30호씩 예속시키었다)-<태조 4년 1월 11일>

'慶原倉 在州西十里淵遷 收受慶尙道貢賦之所'(경원창, 주의 서쪽 10리 연천에 있는데, 경상도의 공부(貢賦)를 거두어 받는 곳이다)-<세종실록지리지 충주목>

이와 관련, 어문학자들 사이에 △쇠벼라가 충주 어디에 위치하는 중세 고지명이고 △그것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먼저 그 위치성에 대해서는 △달천과 합하여 소(沼)가 되고 옆에는 벼랑이 된 곳(김윤경 외) △가금면 누암리 강가의 다락바위로 된 벼랑(한글학회) △누암리 다락바위를 중심으로 한 남북의 옹색한 길(박병철) 등의 주장이 제기돼 있다.

충북대 조항범(국문과) 교수는 한국어학 제 54집을 통해 이와는 다른 주장을 최근 내놨다.

그는 "현장을 탐문한 결과, 탄금교 서쪽을 툭 튀어나온 지형이라는 뜻에서 '쇠꼬지'라고 불렀다"며 "그렇다면 '쇠벼라'도 이것과 친연성이 강한 지명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쇠벼라'의 '쇠'에 대해서는 '소'와 관형격(속격) 조사 'ㅣ'의 결합으로 보는데 학자들 간에 이견이 크지 않다.

이와 관련해 서원대 박병철 교수는 '소'에 대해 '강과 같이 개방적인 공간에서 일정한 지점에 멈추어 있는 듯 물이 빙빙 돌아 나가는 깊은 곳'(沼)으로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벼라'에 대해서는 '절벽'(崖)만 의미한다는 견해가 많았다.

조교수는 이에 대해서도 "단순가 절벽이 아닌, 물에 접한 벼랑에 난 돌길(水崖石路)로 봐야 한다"며 "쇠벼라의 한자 표기로 '遷' 자를 쓴 것은 이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사례는 조령 밑의 토끼벼루(兎遷), 밀양의 까치비리(鵲遷), 양산의 황산베리(黃山遷) 등에서도 예외없이 발견되고 있다.

조 교수는 결론으로 "충주의 중세 고지명 '쇠벼라'는 소에 접한 벼랑을 따라 난 돌길로 봐야 한다"며 "그 위치는 쇠꼬지에서 누암리 다락바위까지 였다"고 밝혔다.

학계의 주장과 별개로 옛길 '쇠벼라'를 복원, 충주의 정체성을 새롭게 하고 나아가 지역의 자산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들은 그 이유로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6백여년 역사의 고지명이고 △물길과 땅길이 만나는등 충주를 무엇보다 잘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조혁연 대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③김동연 경기도지사

[충북일보] 김동연 경기지사는 "'당당한 경제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이 기울어진 경선 룰을 확정했지만 국민과 당원만 바라보고 당당히 경쟁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아닌 '어대국'(어차피 대통령은 국민)을 강조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국회·입법·사법부를 세종·충청으로 이전하고 대통령 임기 단축의 지방분권형 개헌과 50조 슈퍼 추경을 통해 국민통합을 이뤄야 한다고도 했다. ◇6·3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는. "지금 국민들이 요구하는 시대정신은 '경제'와 '통합'이라고 생각한다. 민생경제의 위기에 더해 정치권에서 촉발된 분열과 적대의 골은 점차 깊어지고 있다. 내란과 탄핵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다. 이념에 휘둘리지 않는 정책과 확고한 비전, 실행력으로 경제위기 속에서 중심을 잡고 재도약을 이룰 리더십이 절실하다. 국민통합을 위해서는 정치개혁이 필수다. 다음 대통령은 임기 단축이라는 희생을 결단하고, 동시에 일관된 비전과 정책으로 대통령직을 수행해 국민통합의 마중물이 되고, 새로운 대한민국의 문을 열어야 한다." ◇김동연 후보의 강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