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가네코 후미코 얼굴사진, 잘못 알려졌다

본보가 작년 보도한 기사 知人통해 일본에 전해져
日전문가 "그 사진 잘못된 것" 최근 확인글 보내와
국내 백과사전에 실린 가네코 사진 모두 교체해야
그녀의 청주군 부강역 떠나는 장면 자서전의 백미

  • 웹출고시간2016.02.01 17:38:00
  • 최종수정2016.02.04 17:15:20

잘못 알려져 온 가네코 후미코 얼굴사진(왼쪽). 자살전 그려진 초상화 얼굴로, 이 모습이 진짜이다.

[충북일보]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1903∼1926)는 독립운동가 박열(朴烈, 1902~1974)의 연인으로, 조선을 사랑했던 일본 여성으로 근래들어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1910년대 청주군 부용면(현 세종시 부강면) 부강에서의 7년 생활이 그녀의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자) 사상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매체에 등장하는 그녀의 얼굴 사진은 잘못 알려져 온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인터넷에서 '가네코 후미코'를 치면 뉴스는 물론 각종 백과사전에 △눈이 크고 △가운데 가르마를 했으며 △그리고 기모노를 입은 여성 얼굴이 검색되나 이 여성은 가네코 후미코가 아닌, 동성동명의 다른 일본 여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박열의사 기념관 준공소식을 보도한 2004년 7월 23일의 '야마나시(山梨) 일일신문'도 가네코 후미코의 잘못 알려진 사진을 게재했다.

ⓒ 자료: 박열의사 기념관.
이같은 사실은 일본 야마나시(山梨)현의 가네코 후미코 연구회장인 사토 노부코(佐藤信子) 씨가 한국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 기념사업회를 통해 부강면 곽창록(82, 부강향토사 연구위원) 씨에게 관련 내용을 우편으로 보내오면서 확인됐다.

앞서 <충북일보>는 지난해 8월 광복절 특집기사(8월 12일자)로 가네코 후미코를 다룬 바 있고, 같은 해 10월 19일자에서는 그녀의 가장 가까운 혈육인 가네코 타카시(金子敬·외가쪽 친조카) 씨의 부강지역 방문을 지면에 실었다.

이 가운데 10월 19일자 <충북일보>가 곽위원을 통해 일본 야마나시현으로 전해졌으나, 결과적으로 백과사진 사진을 그대로 실은 본보의 보도는 두차례 모두 '잘못 알려진 얼굴사진'을 내보낸 셈이 됐다.

사토 연구회장은 곽위원에게 보낸 글에서 가네코 후미코의 진짜 얼굴 자료는 △수감 직전 연인 박열의 품에 안겨 책을 읽는 모습의 사진 △자살 직전 그녀의 동지였던 모치츠카 가츠라가 그린 초상화 등 단 두 점밖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책읽는 모습의 사진은 △어떻게 중대 범죄자가 감옥 안에서 밀회를 즐길 수 있는가 △또 어떻게 사진을 찍었고, 그것은 왜 외부로 유출됐는가 등의 여론이 들끓으면서 당시 와카쓰키 내각이 총사퇴한 바 있다.

그럼에도 동성동명의 잘못 알려진 가네코 후미코 얼굴 사진이 일본 국내는 물론 한국에서도 계속 전파된 것은 1977년 일본의 잡지와 단행본들이 동명이인을 잘못 실으면서부터라고 사토 회장은 밝혔다.

실제 가네코의 마지막 초상화와 잘못 알려진 사진을 비교해 보면 전자 인물은 눈이 작고 안경을 착용한데 비해 후자는 눈이 크고 하관이 빠른 모습을 하고 있는 등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박열과 함께 찍은 가네코의 사진은 책읽는 동작에 얼굴이 반쯤 가려서 있어 세부적인 비교는 어려운 편이다.

현재 박열의 고향인 경북 문경에는 '박열의사 기념관'이 건립돼 있고, 그 내부에는 가네코 후미코에 관한 자료도 비교적 풍부하게 전시돼 있다.

그러나 이곳에 전시된 △야마나시현 일일신문(2004년 7월 23일자) △가네코 후미코 심포지엄 자료(2004년) △나시노키사의 가네코 후미코 관련 저서(2006) 등 일본 자료 모두에도 잘못 알려진 사진이 실려 있다.

곽위원은 "잘못 알려진 사진이 뒤늦게나마 확인돼 다행"이라며 "인터넷과 백과사전에 잘못 실려 있는 사진을 바로 잡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조혁연 객원대기자

가네코 후미코는

그녀는 △요코하마에서 사생아로 출생 △한국 부강(구 청주군 부용면·현 세종시)에서의 생활(1912∼1919) △박열과의 만남과 동거(1922) △관동대지진 때 치안법 위반으로 체포(1923) △천황 암살혐의 추가(1924) △옥중 자서전 집필 시작(1925) △박열과 옥중 결혼(1926) △우쓰노미야 형무소에서 목을 메 자살(1926.7) △박열 고향인 경북 문경읍 팔령리에 유골 안장(1926, 11) 등 23살의 짧은 삶을 살았다.

가네코는 옥중에서 쓴 자서전 『무엇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에서 경부선 기차가 부강역에 진입하자 자신을 7년 동안 학대한 부강의 일본인 할머니와 고모 곁의 떠나는 심정을 이렇게 적었다.

'-아아, 기차여! 7년 전 너는 나를 속이고 데려왔다, 그리고 나를 오로지 혼자 고통과 시련 속에 남겨두고 가버렸다. 그 사이 너는 몇백번 몇천번 내 곁을 지나쳤는지 모른다. 하지만 언제나 곁눈으로 흘끗할 뿐 말없이 지나쳤구나. 하지만 이번이야말로 너는 나를 마중 와주었다. 너는 나를 잊지는 않았던 것이다, 자 어디라도 데려가다오! 어서 어서 어디라도. 그냥 빨리 이 땅에서 데려가다오!'-<〃173쪽>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