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원군 출토 '흥수아이' 구석기인 화석 아니다"

프랑스 학자 "측정 결과 17~19세기 연대값"
당시 발굴팀 "시료 오염됐다" 강하게 반발

  • 웹출고시간2011.06.27 20:36:3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한반도 구석기인 화석으로 알려졌던 청원군 두루봉 동굴의 '흥수아이'가 연대 논란에 휩싸였다. (위) 책 본문은 프랑스어 논저를 우리말로 번역한 것의 일부다.

한반도 구석기인 화석으로 알려졌던 청원군 두루봉 동굴의 '흥수아이'가 때아닌 연대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이번 논란은 내국인이 아닌, 프랑스 학자가 제기한 것이어서 국제적인 주목도 함께 받고 있다.

27일 국내 선사고고학계에 따르면 프랑스 국립과학원 소속의 앙리 드 룸리 교수가 충북대 박물관에 전시중인 흥수아이의 시료를 탄소연대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다른 AD 17~19세기라는 측정값이 나왔다.

룸리 교수는 이같은 내용을 최근 '층위학적 고환경적 맥락에서 본 남한의 이른 구석기 문화'(번역 문장) 제목의 프랑스어로 된 논저(論著)로 발간하고, 책 후미에 한국어 번역글도 곁들였다.

논저는 '젖니와 영구치의 이가 난 정도, 석회화 정도, 흡수 정도(시멘트질, 상아질 따위의 진행성 소실)를 보면, 흥수아이는 6세에서 7세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적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 연구원들 중 한 명인 아멜리 비알레는 가장 잘 보존된 1호 아이에서 시료를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 흥수아이의 연대는 근세인 17세기에서 19세기 사이인 것으로 밝혀졌다.(정확하게 기원후 1630년에서 1893년 사이)'고 쓰고 있다.

또 '사람뼈와 함께 유물이 출토되지는 않았다. 이로 인해 흥수아이의 연대에 관한 문제가 발굴 직후부터 제기되었다'고 덧붙였다.
 
이에대해 당시 발굴조사 작업에 참여한 인사들은 "그럴리가 없다. 만약 그같은 연대값이 나왔다면 채취해간 시료가 오염됐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했다.
 
한 관계자는 "발굴 직후 PVA(경화제)를 사용한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경화제는 아세톤으로 씻어도 완전히 씻기지 않는 만큼 연대값이 왜곡될 수 있다"고 밝혔다.
 
고고학계에서는 뼈의 추가적인 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해 경화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함께 "한국 고고학의 대가 손보기(작고) 전 연세대 교수도 두루봉 발굴에 참여했다"며 "그러나 그도 생전에 흥수아이가 구석기인 화석이 아니라고 말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논란이 일자 당시 발굴에 관여했던 지역 전문가는 중립적 위치에 있는 독일 과학기관에 흥수아이 DNA 검사를 의뢰했으나 시간이 너무 많이 흘러 DNA 추출 불능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당시 발굴에 참여했던 지역 인사들은 룸리 교수측에 2차 시료를 보내 재측정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982~1983년 사이에 충북대 박물관팀에 의해 청원군 두루봉 동굴에서 발굴된 흥수아이는 발굴지점의 고고학적 환경과 체질학적 특징으로 미뤄 대략 4만년전의 구석기인 화석으로 여겨져 왔다.
 
체질상의 특징으로 △나이 4∼6살 △머리 크기 1200∼1300㏄ △키 110∼120㎝로 △'늦은 시기의 현생인(Homo sapiens)'이라는 설명이 붙여 다녔다.
 
이에따라 흥수아이는 교과서와 방송은 물론 국내 수십종의 역사책에 거의 빠짐없이 등장하는 등 한국 선사문화를 대표하는 한반도 인류화석의 하나로 인식돼 왔다.
 
한편 국내 막 배포되기 시작한 이번 논저에는 룸리교수 외에 이모, 박모, 배모 등의 국내 구석기 전문가도 부분 저자로 참여하고 있다.

/ 조혁연 대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