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택 교수에게 듣는 건강상식 - 고혈압 가이드라인의 변화

2007.12.27 21:51:52

김승택 교수

충북대병원 내과

요사이 우리 병원 응급실에 흉통으로 내원하여 응급심장시술을 받는 사람이 줄을 잇고 있다. 뇌졸중 환자도 눈에 띠게 늘어났다. 잠복되어 있던 혈관장애가 갑자기 나타나는 겨울철이 된 것이다. 이런 급작스런 혈관질환은 평소에 위험인자를 잘 다스려서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는 점은 누누이 강조한 바 있다. 위험인자 중 고혈압, 고지질혈증, 당뇨, 흡연이 대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위험인자이다. 그 중 고혈압은 인구의 20-30% 정도에 달할 정도로 많고, 특히 65세 이상에서는 2명중 1명이 걸릴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요사이는 혈압을 병원에서만 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공공장소에도 혈압계를 비치한 곳이 눈에 띠게 많을 뿐만 아니라, 열심히 혈압을 체크하시는 분 중에는 집에서 측정할 수 있는 혈압계를 갖추어 놓고 있기도 하다. 병원에서도 미심쩍은 경우에는 24시간 지속적으로 혈압을 재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24시간 활동혈압계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다양하게 혈압을 잴 수 있게 되면서 어떤 방법으로 혈압을 측정하였는지에 따라 고혈압의 기준이 바뀌게 되었다.

우선 120/80 mmHg 이하를 정상 혈압이라 하고, 병원에서 잴 때의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면 고혈압이라 함은 변화가 없다. 그러나 24시간 활동혈압을 잰 경우에는 24시간 평균혈압이 125-130/80 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본다. 집에서 혈압을 잴 경우에는 130-135/85 mmHg 이상이면 고혈압이다. 혈압은 낮에는 올라가고 잠잘 때는 떨어진다. 따라서 밤에 120/70 mmHg 이상이면 고혈압의 범주에 든다고 할 수 있다.

고혈압을 치료하는 방침에도 변화가 생겼다. 다른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140/90 mmHg 이하로 떨어뜨리는 것이 치료의 목표이다. 그러나 협심증, 급성심근경색증 등의 관상동맥질환을 앓고 있거나, 뇌졸중을 겪었거나, 당뇨를 가지고 있거나, 콩팥(신장)기능이 나쁜 고위험환자들은 130/85 mmHg 이상이면 치료를 시작하여야 하며 치료목표도 130/80 mmHg 이하로 낮춰 잡아야 한다. 고혈압의 치료를 위하여 동원할 수 있는 방법에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의 세 가지가 있음은 이미 이야기 하였다. 혈압이 많이 높지 않은 경우(140-159/90-99 mmHg)에는 몇 주에서 길게는 몇 달간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먼저 혈압조절을 해 보고 안 될 경우 약을 쓰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혈압이 180/110 mmHg 이상으로 높거나, 앞서 이야기한 고위험군은 혈압이 많이 높지 않은 경우에도 초기부터 약물을 써서 혈압을 적절히 조절해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혈압이 어느 정도 안정되면 병원에는 2-3달에 한 번씩 오게 된다. 평소에는 치료를 게을리 하다가 병원에 올 즈음해서 약도 제때 먹고 음식도 조심하여 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는 듯이 보이는 환자도 있는데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백해무익할 뿐이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5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