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예의지국이라 칭송 받아온 우리 조상들은 효(孝)를 인간이 지켜야할 도리 중에서 으뜸으로 여겼다. 그래서 효자, 효녀, 효부를 기리는 기념비나 정각을 많이 세우다 보니 이에서 비롯되는 지명들도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청주시 남일면 효촌리는 본래 청주군 남일하면(南一下面)의 지역으로서 효자 경 연(慶延)이 그 부모에게 효를 다 하였으므로 효촌(孝村)이라 불러 왔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정리(松亭里), 도덕리(道德里), 대평리(大坪里) 일부를 병합해 효촌리라 해서 남일면에 편입됐다.
효촌 마을 뒤에 있는 모산(茅山)에 효자 경연(慶延)의 묘가 있고 효촌 마을 앞에는 효자 경연(慶延)의 정문인 경효자문(慶孝子門)이 있다.
이처럼 효와 연관돼 생긴 효촌이라는 지명은 전북 임실군 오봉리, 경남 거제시 연초면 연사리, 경북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 등에도 있고, 전북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전남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등에는 효자촌이라는 지명이 있다. 이와 같이 '효'를 지명 요소로 사용한 지명도 있지만, 효와 연관된 일화가 전해져 오는 지역도 많다.
특히 '효'는 모든 사람들에게 누구에게나 요구되는 덕목이기에 전국적으로 다양한 미담과 설화가 퍼져 있다. 아픈 부모를 위해 시체의 목을 잘라 바쳤는데 알고 보니 산삼이었다는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과 거두리의 마을 유래를 비롯해 경남 거제시 연초면 효촌의 '한겨울에 숭어를 구해온 효자 이야기', 경북 포항시 남구 효자동의 '호랑이도 감동시킨 효자 이야기', 전북 고창군 성송면 뱀내골의 '뱀 알로 아버지의 병을 고쳐드린 달래 이야기', 전북 진안군 용담면 범바위의 '개고기가 먹고 싶다는 노모를 위해 호랑이로 둔갑해 개를 잡아 온 아들 이야기', 울산시 서부동 삼밭골의 '삼을 캐어 부모님의 병을 고친 오누이 이야기', 대전직할시 중구 문화동 꽃적마을의 '꽃적을 구워 시아버지를 공양했던 며느리 이야기' 등이 지명과 연관지어 전해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압권은 충북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 이양골의 '잉어를 스스로 뛰쳐나오게 한 효자' 이야기일 것이다.
충북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권국화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본관이 안동으로 부모님에 대한 효심이 지극했다. 어느 해 권국화의 아버지가 병석에 누웠다. 이에 아들은 백방으로 약을 구하러 다녔으나 구하지 못하였다. 아들이 수소문한 끝에 장호원에 명약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한밤중이었지만 마음이 급했던 권국화는 장호원에 가기 위해 고개를 넘었다. 그런데 커다란 호랑이가 고갯마루에 앉아있었다. 권국화는 죽었구나 싶었는데, 잘 보니 호랑이가 등을 권국화 쪽으로 내미는 것 같았다. 그는 호랑이가 자신에게 타라고 하는 건가 싶어 갸우뚱하다가 에라 모르겠다 하고 호랑이 등에 올랐다. 그랬더니 호랑이는 순식간에 50리 길을 달려가 장호원 약방 앞에 권국화를 내려줬다. 권국화가 약을 지어 나오자 호랑이는 또다시 나타나 등을 내밀었다. 권국화를 태운 호랑이는 집 앞까지 빠르게 달려 내려주었고, 사 온 약을 달여 드시게 했더니 아버지의 병이 금방 나았다.
그 후 아버지가 다시 병석에 누우셨는데 잉어회가 먹고 싶다고 했다. 권국화는 마을 옆 성미저수지로 가서 얼음판에 무릎을 꿇고 하늘에 정성껏 기도를 드렸더니 무릎 체온이 얼음을 녹여 구멍이 뚫렸다. 그러더니 뚫린 구멍으로 커다란 잉어 한 마리가 얼음판 위로 솟구쳐 뛰쳐나왔다. 그 잉어를 잡아다 회를 떠서 아버님께 드렸더니 아버지는 자리에서 일어났고, 건강을 회복했다.
그리고 아버지가 천수를 다하고 돌아가시자 아버지 묘소 옆에 움막을 짓고 시묘살이를 했다. 그를 태우고 장호원 약방까지 왕복해 준 호랑이가 밤마다 움막 앞에 나타나 권국화를 지켜주었다고 한다. 이를 본 마을 사람들은 권국화의 지극한 효성에 하늘이 감동한 것이라 칭찬했다. 이후 마을 사람들은 권국화가 잉어를 잡았던 성미저수지가 있는 들판을 잉어가 올라온 곳이라 해 이양골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이처럼 효와 관련된 유래가 전해지는 지명은 후손들에게 교훈을 주기도 하지만 주민들에게는 애향심을 북돋워주는 자랑스러운 지명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