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명산책 - 깃대봉

2020.12.09 15:52:45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수필가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에 깃대봉이라는 산봉우리가 있다. 것대산의 어원을 찾아 과거로의 긴 여행을 하면서 것대산과 유사한 음을 가진 '깃대봉'도 것대산과 무슨 연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지게 되어 전국의 지명에서 '깃대산'을 찾아보기로 하였다.

충북의 옥천군 군서면 상지리와 영동군 심천면 길현리의 '깃대봉'을 비롯하여 충남 논산시 양촌면 산직리, 충남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 서울 관악구 신림동,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신월리, 전북 장수군 장계면 오동리,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두밀리, 전북 장수군 계북면 농소리, 경북 고령군 성산면 기산리, 전북 임실군 삼계면 죽계리, 경북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 강원 춘천시 남산면 백양리, 전북 순창군 쌍치면 운암리, 전북 정읍시 산내면 매죽리, 전북 순창군 구림면 금천리, 전북 남원시 운봉읍 덕산리, 전북 순창군 구림면 안정리, 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강원 춘천시 동면 월곡리의 '깃대봉' 등등 '것대산'과는 달리 그 예가 너무나도 많았다.

그런데 위 지역의 깃대봉들은 한결같이 군사들이 깃대를 꽂은 산이라는 유래를 만들어 놓고 있는데 이는 글자에서 생각나는 의미를 연관지어 만들어낸 유래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깃대란 평지에 꽂아야 멀리서 잘 보이므로 군사 작전에 표식이 되는 것이지, 그 높은 산에 깃대를 꽂으면 잘 보일 리도 없고 또 이렇게 많은 지역마다 산꼭대기에 깃대를 꽂았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는 분명 산의 모양을 가리키는 의미의 말로서 예전에 산의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인 말이 그 뿌리일 것으로 짐작이 된다.

충주의 하늘재는 많은 전설과 유래가 깃들여 있고, 『삼국사기(三國史記)』·『삼국유사(三國遺事)』·『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 다수의 고문헌과 자료에 기록되어 있으며 신라의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고구려 온달장군 등의 전설에도 등장하는 유서 깊은 고개다. 그런데 이 고개는 역사가 오래된 만큼 그 이름도 정말 여러 가지로 불리었다. 신라시대에는 '계립령(鷄立嶺),마골참(麻骨站), 마목현(麻木峴)'이라 불렸으며, 고려시대에 계립령 북쪽에 대원사가 창건되면서 절의 이름에서 따와 대원령(大院嶺)이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고개 부근에 한훤령 산성이 있으므로 한훤령(寒喧嶺),한원령(限院嶺)이라고도 불렀으며, 고개가 하늘에 맞닿을 듯 높다하여 하늘재라 하였다. '하니재, 하닛재' 등으로 발음을 달리 하여 부르기도 하였으며, 이를 한자로 '천치(天峙)'라 표기하였다. 또한 높은 고개라는 뜻에서 '한지'라고도 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이름이 많이 바뀌는 것은 역사가 오랜 이유도 있지만, 언어가 변화하면서 원래의 의미를 잃게 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 오랜 옛날에는 벼농사가 활발하지 않아서 '피(稷-기장, 조)'가 우리 조상들의 주식이었으므로 주변에 피농사를 위한 피밭이 많았으므로 오늘날 '피밭'과 관련된 지명(피아골, 피반령, 비하리)이 많이 남아있듯이 2천여 년 전 우리 조상들은 주로 삼을 이용해서 의복(삼베옷)과 생활 도구를 만들었으므로 주변에 삼밭이 많아서 '삼골, 마곡(麻谷), 삼밭골, 삼생리(삼싱이)'과 같은 지명이 남아 있다. 또한 그 옛날의 집 안에서는 틈이 날 때마다 삼대를 벗겨 가공하는 일을 했을 것이므로 고개의 양쪽 암벽이 겨릅대(껍질을 벗긴 삼대)처럼 보이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계립령(鷄立嶺),마골참(麻骨站)'이라 표기하게 된 원래의 이름인 '겨릅재(지릅재, 지름재)'는 당시에는 일반적인 산의 이름으로 많이 쓰였을 것이다.

그렇다면 '깃대봉'은 '깃대를 꽂은 봉우리'가 아니라 원래 '겨릅대봉'으로서 '겨릅대처럼 생긴 암벽이 있는 산봉우리' 라는 의미인데 '겨릅대봉→겹대봉→것대봉'의 변이 과정을 거쳐, 한때는 '것대봉'이 널리 쓰이기도 하였으나 '것대'의 의미를 알 수 없게 되자 '것대'에서 쉽게 연상되는 '깃대'로 모두 변이되었다. 청주 상당산성 인근의 '것대산'은 봉수대가 일찍 설치된 덕분에 '것대산'이라 쓰이던 시기에 한자로 기록되는 바람에 오늘날까지 옛날의 음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특이한 예로 볼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의 '깃대봉'은 계립령과 그 거리가 멀지 않아서 겨릅재, 것대산, 깃대봉이라는 이름들이 모두 같은 뿌리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