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명산책 - 호정골

2021.07.07 17:43:02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수필가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의 호정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이상면의 지역으로서 호연정(浩然亭)이 있으므로 '호연동(浩然洞)' 또는 '호정골'이라 부르다가 줄여서 '호동(浩洞)'이라 했다고 전해진다.

호정이란 지명에 대한 유래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기도 한다.

"조선 초기의 개국공신인 하륜(河崙)이 이곳의 승경에 매료되어 초가집을 짓고 이 지역에 은거하였다. 어느날 동쪽 봉우리에 올라 지세를 살펴보니 마을이 흡사 배 모양을 한 행주형(行舟形)임을 발견하고 장차 이곳에 큰 수해가 있어 마을이 크게 훼손되리라는 것을 예견하고 급히 산에서 내려와 남산에 돛대를 상징하는 나무를 심어놓고 배를 묶어놓는 닻돌을 마련하였다. 그런 후에 다시 산에 올라가 사방을 살피고 나서 마을을 에워싸고 있는 네 개의 산의 이름을 지었는데 동쪽의 봉우리는 용마산(龍馬山), 북쪽 봉우리는 매봉산, 남쪽 산은 대왕산, 서쪽 산은 선도산(仙到山)이라 하고 북쪽과 동쪽 사이의 낮은 산은 치복산(雉伏山), 그 사이에 있는 계곡을 사냥골이라 한 후 이 산들을 돌면서 사냥을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하륜이 정양을 하고 있던 마을을 하륜의 호를 따서 '호정(浩亭)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개국 공신인 하륜과 연계하거나 호연정이 있어서 '호정골'로 불렀다는 유래는 유사한 어휘와 연관지은 것이어서 지명의 어원으로서는 설득력이 부족하므로 '호정골'은 고유어로 이루어진 자연지명에서 변이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호정골이라는 지명은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호정리의 호정골을 비롯하여 경남 거창군 고제면 궁항리와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성산리에서 찾을 수 있지만 '호장골'은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의 '호장골'을 비롯하여 경기도 이천시 증일동,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 충남 청양군 정산면 마치리, 경북 봉화군 명호면 관창리, 경남 산청군 신등면 율현리, 경북 포항시 북구 기북면 대곡리,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만석리, 전남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등 많은 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호정골'은 '호장골'에서 온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호장골, 호정골'을 한자어가 아닌 고유어로 본다면 '장, 정'은 '잣(산)'에서 변이된 말일 것이다. '잣'은 '산'의 옛말로서 지명요소로 많이 쓰여왔다. 지명에서 '잣'은 '작, 적, 장, 정, 자, 재' 등으로 변이되어 쓰인다. 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고현리와 전남 고흥군 남양면 중산리의 '호자골'의 예를 보더라도 '호장골, 호정골'은 '호잣골'에서 온 말임이 분명하다고 히겠다.

그렇다면 '호정골'의 '호는 무슨 의미일까· 지명에서 '호'가 지명요소로 쓰인 예를 보면, 경기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은 이 지역에 호랑이가 많이 나타났던 지역이므로 호계(虎溪)라고 불렀다고 하며, 울산광역시 북구의 호계동(虎溪洞)은 마을 동쪽에 호랑이 모양을 한 봉우리가 있어 호곡이라 하였다고 전해지기도 하지만 옛날 이곳에 홈이 있었다하여 '홈골, 홍골, 호곡'이라도 불러왔다는 것으로 보아 '호'는 '호랑이'를 의미한다고 하기보다는 '홈'이 원형인 것으로 보인다.

지명의 예에서 보면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의 '홈골'을 비롯하여 대전시 유성구 반석동, 경북 상주시 화남면 중눌리, 경북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 경북 문경시 마성면 외어리 등에 '홈골'이 있는데

글자 그대로 '홈'처럼 파여 있는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가리키는 지명이다. 그런데 '홈골'은 여러 지역의 지명에서 '홍골'로 변이된 곳이 많다.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문박리의 '홍골'을 비롯하여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괴산군 청안면 운곡리, 괴산군 문광면 흑석리, 보은군 마로면 한중리 등의 '홍골'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개의 지형을 보면 양쪽이 높고, 길은 낮아서 '홈'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많이 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경북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의 홈재(胡山)와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동(홍재동), 서울시 마포구 대흥동의 홍현(紅峴), 서울시 동작구 사당동의 호현(狐峴), 상당구 문의면 덕유리의 홍고개 등의 원형은 '홈고개'로 추정해 볼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호정골의 변이 과정은 '홈잣골→홈장골→호장골→호정골'로 재구해 볼 수가 있으며 '홈 모양으로 깊게 파인 산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이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