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차전지 핵심 소·부·장 中 쏠림 유의

국내 생산액 31.2% 충청권 '전국 1위'
LG엔솔·에코프로비엠 등 주요 기업 충북 입지
활물질·분리막 필름 100% 중국 의존
한은 "중장기적 공급망 관리 플랜 필요"

  • 웹출고시간2023.08.28 16:32:19
  • 최종수정2023.08.28 16:32:19
[충북일보] 최근 중국 경제 위기론이 대두되며 중국 의존도가 높은 이차전지와 반도체 산업에 대한 공급망 관리 등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전지와 반도체는 충북이 주력하는 신성장 산업이자 지역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업종으로 공급망 체계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이 발간한 '우리나라 주요 제조업 생산 및 공급망 지도'를 보면 2021년 기준 국내에서 생산된 전기장비(이차전지 포함) 생산액은 115조1천억 원, 이 중 31.2%가 충청권에서 생산됐다.

이는 전국 1위에 해당하는 수치로 충청권 주요 기업 9곳 중 LG에너지솔루션 청주공장, LG화학 청주공장, 에이치그린파워 충주공장, LS일렉트릭 청주공장, 한화솔루션 진천·음성공장, 에코프로비엠 오창공장, HD현대에너지솔루션 음성공장 등 7곳이 충북에 있었다.

권역별 전기장비(이차전지 포함) 생산 점유율.

2017년 25%였던 충청권의 전기장비 생산점유율은 2018년 28.9%로 올라서며 1위인 수도권(27.9%)을 앞지른 뒤 계속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시장 상황은 특정국에 쏠려있는 소재, 부품·제조장비 수입경로를 다변화하지 않고서는 장담할 수 없다.

실제 2022년 기준 양극재(원료, 전구체, 활물질) 등 이차전지 소재 수입 비중을 살펴보면 중국에 63.7%가 쏠려있다.

활물질(LCO)과 분리막(PP·PE) 필름은 100%, 전구체(NCM 산화물)은 99.9%, 전구체(NC·NCA수산화물)은 98.6%, 활물질(NCM리튬염)은 98.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었다.

중국 다음으로는 일본(13.0%) 의존도가 높았고 미국(4.3%), 호주(3.4%), 독일·캐나다(각 1.6%), 핀란드(1.4%), 대만(1.1%)가 뒤를 이었다.

부품, 제조장비 역시 중국 의존도가 36.0%에 달했으며 양극판·음극판·배터리 부품 등은 84.7%, ESS용 랙(Rack)은 81.5%를 중국에 의존하는 실정이었다.

충북은 2021년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에 이어 지난 7월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에 선정된 후 세계 이차전지 산업 허브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차세대 배터리 개발·생산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이달 중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추진단' 구성한 뒤 세부 실행방안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이같은 계획도 소재, 부품, 제조장비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동력을 잃게 된다.

배터리 산업의 원료인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원료를 해외에서 조달하지 못하면 공급망 상황에 따라 지역경제는 물론 국가경제까지 심각한 위기가 올 수 있다.

반도체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의 수입(2022년 총 467억 달러)은 일부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소재와 부품에 대한 중국 의존도는 23.1%, 전력공급장치인 슈퍼 캡에 대한 중국 의존도는 91.5%에 달했다.

반도체는 대(對)중국 수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연관성이 깊었다. 국가별 반도체 수출(2022년 총 1천427억 달러)은 대(對)중국 수출(758억 달러) 비중이 53.1%로 가장 높다.

한국은행은 "이차전지 소재, 부품·제조장비의 중국 의존도가 각각 63.7% 및 36.0%에 이르는 등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도 노출돼 있어 산업 전반에 대한 선제적 관리가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미·중 갈등 심화, 각국 정부의 산업·통상정책 변화 및 기후리스크 등으로 글로벌 제조업 구조 및 교역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이러한 교역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출시장 및 공급망 다변화, 친환경 전환 등 구조적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생산기술 격차, 생산비용 상승, 국가·기업 간 신뢰관계 구축 등을 고려할 때 단기간 내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하기는 쉽지 않다"며 "업종·지역·공급망별 특성에 맞는 중장기적 플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