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20%대로 추락했다. 한때 65%의 고공행진을 했던 시절은 서서히 잊혀져 가고 있다.
문제는 지지율을 복원할 뚜렷한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금처럼 여야는 물론, 새누리당 내 친박·비박 갈등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은 지지율을 6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지지율이 폭락한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햇으면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지율 회복을 위해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전개해야 한다. 그리고 국민에게 감동을 주는 국정이 전개되어야 한다.
◇비서실장·3인방 퇴진해야
김기춘 비서실장은 억울할 수 있다. 본인의 잘못이 아니라는 확고한 의식을 갖고 있는 듯 하다.
그런데 국민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 잘못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잘못이다. 대한민국은 김 실장의 억울함에 관용을 베풀어줄 만큼 그리 여유로운 나라가 아니다.
3인방 역시 분통이 터질 수 있다. 잘못한 것이 없는데 물러나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으니 당연히 '화병(火病)'에 신음하고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내려놓아야 한다.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대통령과 아직까지도 선장을 믿어야 하는 국민을 위해 3인방은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
그래야 지지율 반전의 '모멘텀(Momentum)'을 만들 수 있다. 박 대통령의 국정운용 방식이 180도 바뀌어야 한다.
나아가 여당과 내각을 적극 존중하면서 박 대통령의 최대 장점인 통일·외교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
최근 조직개편이 진행되고 있는 청와대의 행보를 보면 답답하기 그지없다. 무엇보다 현재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靑 인사·개편 방향 잘못
박 대통령은 1월 23일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후임 국무총리에 지명했다. 이어 몇몇 수석을 교체했고, 특보단을 발표했으며, 3인방 중 안봉근 2부속실 비서관을 홍보수설실로 옮겼다.
여론은 싸늘했다. 핵심에서 비켜나갔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무특보단 인선조차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를 2월 2일로 예정된 새누리당 원내대표 선거가 맞물려 해석하고 있다.
즉, 원내대표 선거에서 이주영 의원이 당선되면 정무특보단에 친이계 전·현직 의원을 배치하고, 유승민 의원이 당선되면 친박계 전·현직 인사들을 배치한다는 시나리오다.
이 역시 잘못된 판단이다. 평소 정치공학적 셈법을 경계했던 박 대통령의 의중이 아니기를 바란다. 김 실장이 그렇게 판단하고 있다면 그것도 심각한 문제다.
김 실장은 청와대 조직개편과 후속 인사에서 손을 떼어야 한다. 지금 춘추관 안팎에서 김 실장의 유임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이유를 알아야 한다.
떠날 사람은 마음을 비워야 한다. 떠날 사람이 후속인사를 주도하는 것은 사심을 가진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대통령 통일·외교 집중해야
역대 대통령들은 집권 후반기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했다. 국민들에게 통일에 대한 환상을 가졌지만, 번번히 '퍼포먼스'에 그쳤다.
역대 남북 정상회담은 각종 부작용을 초래했다. 핵개발 비용 지원 논란과 NLL 포기 논란 등이다.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남북이 주도하고, 중국과 러시아 등 동북아 국가들이 함께할 수 있는 메리트를 갖고 있다.
박 대통령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나진·핫산 프로젝트 등이 구체화되면 통일 대한민국이 획기적으로 앞당겨질 수 있다.
이완구 국무총리 지명자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 내치(內治)를 전담하며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병폐를 해결할 이 지명자의 힘은 박 대통령의 권한이양에서 나올 수 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남은 3년 동안 통일과 외교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 중국과 러시아, 일본 등 동북아 3국의 적극적인 동조를 위해 현지 대사를 국무총리급으로 격상시켰으면 한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내각과 동북아 3국 외교가 긴밀하게 연결되는 '투 트랙(Two-Track)' 국정은 대립의 남북관계를 상생의 구조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핵심 포인트다.
김 실장과 3인방을 교체하고, 이완구 총리에 권한을 이양하며, 박 대통령은 통일과 외교에 집중하면 지지율은 상승하고, 국민들은 큰 희망을 가질 수 있다.
서울 / 김동민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