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법인 청석학원의 '막후 실세' 김윤배 전 총장이 학내 구성원들의 마지막 요구사항을 끝내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대학 총학생회·교수회·직원노조·총동문회로 구성된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는 20일 오후 5시 현재 청석학원은 물론 김 전 총장으로부터 어떠한 공식 답변도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범비대위는 지난 14일 "모든 걸 포기할 테니 두 가지 요구사항만 수용하면 범대위를 해체하고, 학교 정상화를 위해 협조하겠다"는 취지의 최종제안을 김 전 총장에게 전달했다.
첫째 요구사항은 대학 측 인사 4명과 범비대위 인사 4명으로 가칭 '대학발전혁신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청석학원 공동설립자 중 한 축인 석정계(석정 김영근 선생의 후손)가 추천하는 인사 1명을 재단이사회에 영입해 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김 전 총장은 이 같은 요구사항에 미동도 하지 않았다.
답변 기한인 이날 청석학원 측에서는 범비대위는 물론 학교 측에 어떠한 답변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대했던 학내 정성화를 위한 마직막 협상카드가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청주대 분규 사태도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총학생회는 오는 22일 단과대 회장 등이 참여하는 운영위원회를 열고 투쟁 강도를 논의한다. 퇴진 대상에 김 전 총장을 최우선적으로 포함시키고, 청석학원 이사진 전원도 넣을 예정이다.
범비대위 관계자는 "그동안 행동으로 봐선 답변이 없을 것이라는 예상도 했지만, 이번 요구사항까지 무시할 줄은 몰랐다"며 "오는 21일 범비대위 회의를 거쳐 앞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성홍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