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모든 수단을 동원해 압박하는 학내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을 더는 무시할 수 없는 상황까지 치달은 것으로 보인다.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일 시중보다 3배 비싼 15억원을 들여 교내에 조경공사를 한 김 전 총장을 업무상 배임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청주 청원경찰서는 사건을 경제팀에 배당하고 고발장 검토를 거쳐 김 전 총장을 비롯해 관련자를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조사할 계획이다.
김 전 총장이 이번에 경찰에 소환되면 앞서 검찰까지 포함해 3번이나 수사기관 문턱을 넘는 불명예 기록을 세우게 된다.
그동안 김 전 총장이 연루된 고발사건은 업무상 횡령·배임과 사립학교법 위반 등 총 6건이다. 이 중 5건은 현재 검찰에서 수사가 진행 중이다.
범비대위는 수사가 1년가량 진척을 보이지 않자 김 전 총장의 사법처리 촉구를 요구하며 검찰도 압박하고 있다.
청주대 총학생회는 김 전 총장이 사실상 '오너'로 있는 학교법인 청석학원을 상대로 등록금 반환소송도 추진하고 있다.
총학생회에 '등록금반환특별위원회'를 만들고 총학생회 임원 또는 전체 학생을 소송인단으로 꾸려 이달 안에 소장을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소송이 제기되면 앞서 등록금반환소송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받아낸 수원대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원고 승소할 가능성이 크다.
총학생회 등 범비대위의 이 같은 압박 전술에 김 전 총장도 이제 회피할 방법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이어진 집회·시위는 눈감고 귀 막으면 됐지만, 이번은 재단 재정은 물론 자신의 신변에도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대화와 타협으로 출구전략을 찾아야 할 상황이다.
범비대위 측에서는 이미 김 전 총장과 타협을 위한 대화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최악의 공멸 상황을 막으려고 어느 정도 타협점을 찾으면 한 발 물러서 이번 분규 사태에 종지부를 찍겠다고 내부적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범비대위 관계자는 "김 전 총장과 학내 구성원을 대화 자리로 끌어줄 중간 다리 역할이 필요하다"며 "요구사항 수용으로 타협이 이뤄지면 분규 사태도 마무리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성홍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