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청주] 청주대 정상화 협상 카드를 거부한 김윤배 전 총장(현 청석학원 이사)의 '완전 퇴출'을 위한 본격 투쟁이 시작됐다.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는 21일 "문제사학으로 몰아간 김 전 총장의 이사 승인 취소 요청은 물론 법원에 이사 직무정지 가처분신청도 하겠다"고 밝혔다.
학교 정상화에 최소한의 공감대도 없다고 판단한 범비대위가 '막후 실세' 김 전 총장의 손발을 묶어 놓기 위한 마지막 전략으로 보인다.
범비대위은 이날 성명을 통해 "답변기일인 전날(20일)까지 마지막 제안에 수정 제안조차 내놓지 않는 것은 어떠한 대화나 협의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이라며 "자신의 방식대로 대학을 운영하는 것이 옳다는 망상을 깨우쳐 줄 때가 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김 전 총장은 현재 검찰에서 수사하는 사건의 기소여부나 재판결과에 자신하고 있다"며 "무엇을 근거로 이처럼 안하무인의 자신감을 갖는지 매우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검찰이 김 전 총장을 업무상 배임·횡령 혐의로 기소하면 교육부에 이사 승인 취소를 강력히 요청하고, 법적으로 재단이사 직무정지 가처분을 신청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범비대위는 "김 전 총장이 실패한 학교운영 방식을 고집할 경우, 청주대는 결국 망하게 되리라는 것은 이미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대학 전 구성원의 뜻을 모아 정상화 투쟁 수위를 높일 계획"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범비대위는 지난 14일 "모든 걸 포기할 테니 두 가지 요구사항만 수용하면 범대위를 해체하고, 학교 정상화를 위해 협조하겠다"는 취지의 최종제안을 김 전 총장에게 전달했다.
첫번째 요구사항은 대학 측 인사 4명과 범비대위 인사 4명으로 가칭 '대학발전혁신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청석학원 공동설립자 중 한 축인 석정계(석정 김영근 선생의 후손)가 추천하는 인사 1명을 재단이사회에 영입해 달라는 것이다.
범비대위의 마지막 자존심까지 버린 협상 카드였으나, 김 전 총장은 이 같은 요구사항에 미동하지 않고 어떠한 답변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범비대위는 22일 전체회의를 열고 앞으로 투쟁방향과 방법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 성홍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