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교수회는 17일 보도자료를 내 "청주대가 재정지원제한대학 지정 등 현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최소한 △분규대 이미지 벗기 △과다 적립금 교육여건 개선 투자 △대학민주화 조치 등 획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김윤배 이사와 정성봉 총장에 대해 "학교에 엄청난 피해를 끼치고도 전혀 책임지지 않고 획기적인 개혁적 조치도 제시하지 못하는 리더십으로 청주대 위기는 극복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분규대학 이미지를 벗어나는 것이 매우 시급하다"며 "정성봉 지명총장은 대학구성원에 대한 민사소송을 취하하고, 3년 연속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지정되면서 입은 엄청한 손해에 대해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과다한 적립금을 교육여건 개선에 획기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며 "2016년 적립금 2천917억은 전국 대학 중 6위다. 적립금으로 과다수강생 문제, 열악한 실험실습환경 문제, 교수 및 직원 충원 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해 교육내실화를 이뤄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대학민주화를 위한 조치들이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민주적인 총장후보선출규정 제정이 필요하다"며 "대학평의원회는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재단의 개방형 이사와 감사 선출 시 대학 구성원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그리고 교수회를 공식기구화해 민주적 대학운영의 기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최근 졸속으로 제시된 학사구조 개편안은 대학 실정에 맞지 않고, 정체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며 "교수회는 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돼 청주대가 진정으로 정상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성홍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