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정상화를 위반 범비상대책위원회'가 14일 대학 본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법인 청석한원 이사회에 최종 제안을 하고 있다.
ⓒ성홍규기자
총학생회·교수회·직원노조·총동문회로 구성된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범비대위)'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마지막 공개질의서'를 발표했다.
공개질의서를 통해 범비대위는 대학측 인사 4명과 범비대위 인사 4명으로 가칭 '대학발전혁신위원회'를 구성하고, 학교법인 청석학원 공동설립자 중 한 축인 석정계(석정 김영근 선생의 후손)가 추천하는 인사 1명을 재단이사회에 참여토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두 가지 요구를 김 전 총장이 받아들이면 범비대위는 발전적으로 자진 해산한 후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겠다고 약속했다.
대학발전혁신위원회는 대학측과 범비대위가 구성하기로 했던 '대학발전협의회'와 크게 다르지 않은 개념이다.
범비대위는 "'대학자결주의' 정신에 따라 이사회가 지명한 김병기 총장과 보직교원 3명, 범비대위 대표자 4명이 협의체를 구성해 대학의 문제를 자율적으로 결정하자는 게 대학발전혁신위원회 구성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석정계 후손의 이사회 참여에 관해선 "청암계(청암 김원근 선생의 후손) 후손 1인(김윤배 전 총장을 의미)과 석정계 후손이 추천한 1명이 이사회에 참여토록 허용한다면 창학이념과 설립이념을 되살릴 수 있다"며 "재단의 민주적 운영을 보장할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범비대위는 두 가지 요구사항에 대한 판단을 20일까지 회신해달라고 요청하면서 "만약 회신이 없다면 범비대위의 고심에 찬 제언이 거절된 것으로 간주하고 정상화 투쟁수위를 더 높여나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박찬정 교수회장은 "대학도 살고 구성원도 살리는 상생의 묘수, 고심 가득한 솔로몬의 지혜라 여기고 긍정적으로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재단과 김 전 총장에게 당부했다.
/ 성홍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