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범비대위 "이사회 구성, 청암 9대 석정 1로 하자"

시민단체 "제안 거부하면 대학사유화 의지 확인하는 꼴"

2015.10.14 17:47:14

[충북일보] 청주대의 사태해결에 김윤배 전 총장의 의지선택에 지역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전 총장은 청주대를 부실의 늪에 빠뜨린 책임을 지고 2선으로 물러났으나 막후 실세로 군림하고 있다.

14일 학내 정상화운동을 벌이는 구성원(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들이 '최후의 카드'를 꺼냈다.

지금까지 제시한 모든 것을 포기하고 두 가지만 수용하면 김 전 총장을 인정하고 범대위를 해체하겠다는 것이다.

이 대학 총학생회·교수회·직원노조·총동문회가 내놓은 첫 번째 조건은 대학측 인사 4명과 범비대위 인사 4명으로 가칭 '대학발전혁신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학교법인 청석학원 공동설립자 중 한 축인 석정계(석정 김영근 선생의 후손)가 추천하는 인사 1명을 재단이사회에 참여토록 해달라는 것이다.

지난 4월 27일 총동문회가 제시했던 '4대 요구사항'과 비교하면, 조건 수는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고 내용도 김 전 총장이 거부할만한 명분을 찾지 못할만큼 간결해졌다.

두 가지 조건은 범비대위를 구성하는 4개 구성원 단체가 요구하는 내용의 공통분모만 추린 것이다. 조건 수를 줄이는 과정에서 만만치 않은 진통이 있었다는 후문도 들린다.

비대위 등 대학구성원은 대학을 파국으로 몰고가는 것 만은 막아보자는 데 구성원들이 공감했고 양보했다.

범비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두 가지 요구를 김 전 총장이 받아들이면 범비대위는 발전적으로 자진 해산한 후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겠다고 선언했다.

기자회견에선 '석정·청암계 후손이 이사회 안에서 암투를 벌일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도 나왔다. 이런 질문은 청암계 후손인 김 전 총장이 늘 석정계를 제도권 안에 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범비대위의 주장은 김 전 총장이 사실상 임명하는 이사 8명이 있는 틈바구니에 석정계 인사 단 1명만 넣자는 것이다.

그런데도 김 전 총장이 이를 거부한다면 학교를 정상화 궤도에 올려놓을 뜻이 전혀 없다고 봐야 한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송재봉 충북NGO센터장 "김 전 총장은 설립자 후손으로서 학교가 키우고 정상적인 길로 들어서도록 하는 일만 고민해야 하는데 그러질 못했다"며 "범비대위가 제안한 두 가지 제안은 김 전 총장이 수용할 만한 것인만큼 마땅히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김 전 총장이 범비대위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공공재인 대학을 여전히 개인재산으로 여기고, 평생 좌지우지하겠다는 태도를 여실히 드러내는 꼴이 될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청주대의 미래는 없다"고 말했다.

김 전 총장이 마지막 카드의 수용여부가 청주대의 학내 분규상황을 끝낼지 계속 이어갈지를 결정할 중요한 시점이다.

/ 김병학기자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현재위치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