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일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대표가 지난 16일 충북도청 서문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장애인 기본권 확립과 맞춤형 복지 지원 등을 촉구하고 있다.
ⓒ임선희기자
[충북일보]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들의 처우에 대한 인식이 재조명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들을 향한 사회적 불평등은 고질적인 문제로 남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충북 장애인콜택시다.
충북지역 장애인들은 "건강이 악화돼 비상 의료 상황이 벌어지거나 가족이 돌아가시는 등 급히 이동해야 하는 때에도 손을 놓고 있을 수밖에 없다"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장애인들이 꼽은 충북 콜택시의 가장 큰 문제는 '하루 전 예약', '긴 대기 시간', '지역 제한' 등이다.
지난 2024년 5월 충북도가 장애인들의 광역이동을 돕기 위해 광역이동지원센터의 운영을 시작했지만 도내 다수 시·군에서 광역 이동을 하려면 하루 전 예약해야 하는 점과 이마저도 예약이 어려운 점 등은 '현실과 동떨어진 처사'라고 불만의 목소리를 토해냈다.
17일 충북일보와 만난 이종일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대표는 "지난 달 충주에 갔다가 광역콜을 타고 다시 청주로 와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예약을 며칠 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용하지 못했다"며 "장애인들은 아직도 이동권에 제한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장애인 콜택시가 '콜택시'로 불리지만 예약택시로 운영되고 있는 셈이다.
이 대표가 타는 전동휠체어는 200㎏이 넘는다. 성인 남성 몇 명이 붙어도 들기 어려워 자동 승하차 시스템이 있는 특장차량이 아니면 아예 이동이 불가하다.
건강 악화, 부고 등으로 급하게 상급 병원이 있는 타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펼쳐져도 장애인콜택시를 배차받지 못하면 움직일 수 없다.
비상 의료 상황에도 앰뷸런스에는 전동휠체어가 탑승하지 못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24시간 예약 없이 광역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비스가 정비돼야 한다는 것이 도내 장애인 콜택시 이용자들의 염원이다.
그는 "최소 하루 전에 예약해야만 이용이 가능하다면 장애인들의 원활한 광역이동 지원을 위해 설치된 광역이동지원센터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또 예약에 성공하더라도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문제다.
이 대표는 "어떤 날은 예약한 택시가 금방 오고 어떤 날은 2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며 "콜을 부르면 비장애인들이 이용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비상식적으로 기다리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렇듯 긴 대기 시간은 운전원 수가 부족한데서 기인한다.
충북장차연에 따르면 장애인콜택시를 불편 없이 이용하려면 적어도 1대당 2.5명의 운전기사를 둬야 하지만 현재 도내에서는 220명의 운전기사가 195대의 장애인콜택시를 운행하고 있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특장차량 등 특별교통수단을 평일보다 훨씬 적게 운행하고 있어 이 기간 이용객들은 훨씬 더 많은 시간을 대기해야 한다.
세종시 등 인접 지역을 한 번에 갈 수 없다는 점도 큰 불편이다.
장애인 콜택시 이용자들은 병원 방문과 같은 이유로 세종시에 가기 위해서는 대전을 경유해 대전콜을 이용해야만 한다.
이 대표는 "근접거리 광역콜 시스템 고도화가 돼있지 않아 많은 장애인들이 불편을 겪는다"고 설명했다. / 임선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