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비대위는 3일 성명을 통해 "대학당국이 반박문을 통해 이 사건을 폭행이라는 초점으로 돌리려 하느냐"며 "근본적인 문제는 학생지도 명목으로 행해지는 학생활동에 대한 공작질"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성인인 대학생 자치기구인 총학생회 임원들을 지도의 대상으로 보고 통제했음이 드러난다"며 "학생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을 방해하고 회유하는 것이 학생지도인가"라고 덧붙였다.
사건에 연루된 교직원에 대해서도 문제 삼았다.
이들은 "김윤배 전 총장 시절 총학생회장을 직원으로 채용하는 식으로 회유하고 주로 학생처에서 근무시키며 총학생회 후배들을 '지도'해 왔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라며 "부총학생회장 폭행사건에 연루된 두 명의 교직원도 총학생회장 출신"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31일 총학생회 징계 방안과 단과대 학생회장 회유가 담겨있는 '2015학년도 2학기 학생지도방안'이 발견됐다. 공개를 요구하던 부총학생회장과 교직원들 간 몸싸움이 발생해 한광수 학생처장이 지난 2일 책임을 지고 사퇴서를 제출했다.
한편 범비대위는 3일 오전 11시 청주대에서 열린 대학평의원회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학내 구성원의 의사를 무시하고 대학당국과 재단이 유리하게 구성된 대학평의원회를 인정할 수 없다"며 "의원 11명 중 8명은 총장이 임명했고 나머지 3명만 추천 인사"라고 지적했다.
이어 "다른 대학은 교수, 직원, 학생 등 구성원 대표가 70~80%를 차지하는데 청주대는 55%에 불과하고 이 비율마저 지켜지지 않았다"며 "황신모 지명총장이 재단에 유리하게 위원을 구성한 폭거"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학칙을 위반하고 구성단체 의사를 무시한 채 불법적으로 구성한 대학평위원회를 인정할 수 없으며 법원에 금지가처분신청을 제출하는 등 법적 조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강준식기자 good1200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