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그저 기대로 끝났다. 김윤배 전 청주대총장이 학내 구성원들의 마지막 요구사항을 끝내 거절했다. 구성원 간 갈등을 털고 정상화 궤도에 진입할 기회도 사라졌다.
청주대 사태는 교문 밖으로 확산될 기미다. 청주대 교수회, 학생회, 동문회, 직원노조 등으로 이뤄진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시민사회와 연대 등 강력한 투쟁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비대위는 엊그제 대학 자율성을 지켜내고 학생 중심의 대학다운 대학을 만들기 위해 정상화 투쟁을 지금보다 치열하게 진행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들과 김 전 총장 등 이사진 퇴진과 학교 정상화를 위한 집회·시위 등도 검토하고 있다.
김 전 총장은 그동안 스스로 사면초가의 상황을 만들곤 했다. 이번 선택도 그랬다. 궁극적으로 학교를 더 큰 소용돌이로 몰아넣을 수밖에 없게 했다. 지역사회의 비난 여론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총장은 그동안 청주대 위상을 별로 중요치 않게 생각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총장 재직시절이나 물러난 지금이나 변한 게 없다는 지적도 받았다. 막후에서 여전히 일방통행의 지시로 학교발전을 가로막았다는 평가도 받았다.
우리는 그동안 본란을 통해서도 김 전 총장이 더 이상 자가당착의 모순에 빠지지 말아달라고 주문했다. 일방통행은 그저 부적절한 관계의 원인이 될 뿐이라고 지적했다. '나는 잘하고 있는데 남이 문제'라는 의식부터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청주대 사태의 해결 실마리는 거기서 찾아야 한다. 물론 변할 수 없는 사람에게 변화를 원하는 건 모순이다. 하지만 청주대 사태는 이런 모순을 깨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다. 당연히 청주대의 미래도 없다.
김 전 총장이 지금이라도 전직 총장으로서, 설립자 후손으로서 학교 발전을 위해 한 가지라도 했으면 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