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택수는 농촌과 도시에서 겪은 생활체험을 바탕으로 몸의 언어를 펼치는 시인이다. 농촌의 핍박한 현실과 도시의 척박한 삶을 날카로운 감수성으로 풀어낸다. 젊은 세대의 새롭고 현란한 감각을 좇지 않고 생활의 아픈 단면들을 위무하는 서정의 세계를 추구한다. 그의 시는 관찰의 힘, 창의적인 착상, 논리적 구성력, 활력 넘치는 언어, 설화적 구술 등이 주요 장점이다. 그만큼 세상과 인간을 향한 품이 넓고 울림이 깊다.
그는 섬기거나 보살피는 눈으로 세상의 풍경들을 바라본다. 인간의 우월적 권위를 버리고 사물의 입장에서 사물이 처한 상황을 면밀하게 관찰하여 사물들이 숨기고 있던 상처와 새로운 가치를 발견해내곤 한다. 이런 수평적 교감의 태도는 그의 시집 전반에 깔려 있다. 흥미로운 건 그의 여러 시집 속에 들어 있는 시들이 문예지 발표 당시의 모습 그대로인 게 많지 않다는 점이다. 시집을 묶는 과정에서 조사 하나, 토씨 하나, 어미 하나라도 계속 고치고 고치기 때문이다. 완성을 위한 끝없는 수정과 교체, 시 작업에 대한 이런 치열함과 엄격함이 손택수 특유의 시법(詩法)을 탄생시킨다.
첫 시집 『호랑이 발자국』(2003)을 통해 그는 옛이야기나 설화 속의 호랑이를 현대 도시문명의 현란한 불빛 속으로 호환하여 새로운 민중서사의 힘을 보여주었다. 가족사를 통해 삶의 깊고 아픈 상처들도 섬세하게 짚어냈다. 두 번째 시집 『목련전차』(2006)에서는 동물성 대신 식물성을 강화시켜 대지의 삶을 살아가는 민중들의 아픔을 곡진한 가락으로 풀어냈으며, 세 번째 시집 『나무의 수사학』(2010)에서는 소멸과 모순의 현실을 관통하는 역동적 상상력을 펼쳐 도시적 삶의 애환을 그려냈다. 은유를 통해 사물과 자아의 동일성 세계로 더 깊이 나아가면서 타자들을 억압하지 않고 각각의 존재를 긍정하는 열린 미학을 펼쳐보였다. 그리고 네 번째 시집 『떠도는 먼지들이 빛난다』(2014)에서는 삶의 순간순간들을 놓치지 않고 세밀히 관찰하여 농밀한 언어로 우리 생의 뒷면과 자연의 섭리들을 담아냈다.
오래 전부터 그의 시를 접해오면서 내가 주목한 점 중 하나는 시적 자아의 갈등과 평화 양상이다. 이는 주로 도시 공간과 시골 공간의 대립 균열에서 발생하곤 한다. 대체로 그에게 도시는 내적 갈등과 자아의 균열을 낳는 부정공간으로 말의 혼돈, 말의 분열을 낳는 곳이다. 반면에 시골 고향은 매우 중요한 모태(母胎)이자 근원적 귀소(歸巢) 공간, 대지의 평화와 상생, 화엄의 상상력을 낳게 하는 원천적 낙원으로 설정된다. 왜 그런 걸까· 유년기의 기억을 떠올리며 그가 했던 말을 들어보자.
"저는 다섯 살 때 전남 담양에서 부산으로 왔습니다. 영산강이 출발하는 곳에 용소라는 연못이 있는데 바로 그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 고향에 살았던 기억이 5년밖에 안되지만 거의 제 인생 전부를 지배하는 것처럼 생생하게 남아 있습니다. 강물 속에서 헤엄을 칠 때 가랑이 사이로 섬뜩하게 지나가는 물고기들, 뱀장어들의 그 미끈미끈한 감각들 있지 않습니까, 그게 지금까지 남아 있습니다. 또는 집안 어른들이 들일을 나가실 때 저를 감나무 밑에 새끼줄로 묶어놓고 나가시곤 했습니다. 그러면 감꽃 주워 먹고 흙도 주워 먹곤 했습니다. 흙을 먹어본 기억이 저는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나무하고 제가 탯줄처럼 이어져 있었던 것 같아요. 그 나무를 빙글빙글 돌면서 어머니 아버지가 오시기를 기다리곤 했던 기억들이 대지와의 근원적인 일체감으로 저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손택수는 지나온 삶의 기억들, 시간의 지층들을 독자적 시법으로 생생히 복원해내는 시인이다. 그에게 인간은 삶을 소용돌이치는 흙탕물과 같은 존재고, 시간은 현재와 과거와 미래가 하나로 뒤섞인 나선형 육체다. 많은 시인들이 지나온 과거를 시로 풀어낼 때 아름다운 이미지, 아련한 애수의 심정을 과장해서 드러내곤 한다. 하지만 그는 낭만적 치장을 하지 않고 엄살을 부리지도 않는다. 나는 그의 이런 순수함과 담백함이 좋다. 오늘 소개하는 시 「아버지의 등을 밀며」에서 드러나듯 그에게 기억은 욱신거리는 상처의 시간들이다. 가난한 가장으로서 고단한 삶을 사신 아버지의 존재를 가슴깊이 껴안는 모습은 아픈 감동과 울림을 준다.
/ 함기석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