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것은 물과 같다

2018.10.04 19:23:43

2창수

아티스트

 일찍이 성인들도 생태의 중요함은 물에서 왔다고 보고 있었다. 동양 철학의 대가인 '노자' 역시 물에 대한 칭송을 했다. 여기에서 노자는 '상선약수(上善若水)'를 통해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덕목을 이야기했다. 상선약수는 지극히 착한 것은 물과 같다는 듯이다. 무위자연은 노자의 이상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교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행동 원리로써 일체의 부자연스러운 행동을 하지 않고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는 신선과 같은 경지를 말한다. 인위적인 이익에 집착하지 말고 인성 본연의 겸손한 마음가짐을 행하라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산다면 사람이 있는 곳이 곧 이상향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삶의 모습을 물이 가지고 있는 덕목에서 찾아보고 배워야 한다고 했다.

 上善若水 지극히 착한 것은 물과 같다.

 水善利萬物而不爭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고도 다투지 않고

 處衆人之所惡 모든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 자리로 흘러간다.

 故幾於道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노자는 일찍이 물은 생명을 이루는 근간이 되는 것이며, 생명에게 제공해주는 물로 인해 다양한 생명체가 살아간다는 것을 말했다.

 물은 겸손하고 다투지 않다는 것을 이야기 했으나 현대에는 사람들이 밀집해서 살고 산업을 위해 대량의 물을 사용하고 있다. 그 덕에 오염도를 자연 정화가 따라가기 어렵다. 물은 서로 다투지를 않으나 물을 사용하는 사람들로 인해 서로 다툼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물은 강을 통해 육지를 돌며 흘러 대지를 적시고 바다로 향한다. 오염수가 생기면 바다의 오염은 물론이고 적시며 가는 대지의 곳곳을 오염시키며 지나게 된다. 그러므로 수질오염은 물이 가진 선 한 품성을 나쁘게 만들며 물로 인해 살아가는 올바른 이치를 나쁘게 만드는 일이다.

 청주의 서쪽과 미호천 사이에는 해발 232m인 부모산이 있다. 이 부모산에는 부모산성이 있고 산성에 대한 전설이 있다. 부모산은 원래 아양산(我養山), 악양산(岳陽山), 아미산(俄彌山) 등으로 불렸지만 후에 부모산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게 되고 그것에 대한 전설이 전해지는 것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서 청주성을 빼앗은 의병장 박춘무는 부모산에 주둔하고 있었다. 그러다 왜군은 군사를 다시 정리하여 부모산에 있는 박춘무 의병군을 포위하였다. 부모산에는 마땅한 급수시설이 부족하다는 정보를 입수한 왜장 구로다 나가사마는 산 주위를 완전히 포위를 하여 의병을 힘들게 했다. 보름쯤 되자 아사자들이 속출하였고 의병장 박춘무도 기진하여 쓰러지게 된다. 이때 꿈속에서 지팡이를 짚은 백발노인이 나타나 박춘무에게 "일어나라!" 소리쳤다. 그리고 박춘무 머리맡에 있는 소나무를 가리켰다. 깨어난 박춘무는 병사들에게 머리맡에 있는 소나무를 뽑게 했다. 그랬더니 그 자리에서 많은 양의 물이 솟구쳐 나왔고 식수가 해결됐다. 의병 군사들은 힘차게 항전했고 왜병들은 결국 포위를 풀고 북쪽으로 물러났다.

 박춘무는 죽어가는 병사들에게 물을 내린 것은 마치 굶어 죽어가는 어린아이를 돌보고 음식을 주는 어버이의 은혜와 같다고 했다. 그리고 재단을 쌓아 산신에게 제사를 올렸다.

 이때부터 아양산을 부모산으로 부르고, 박춘무가 죽음 직전에 계시를 받아 판 우물을 모유정이라 불렀다고 한다.

 옛 선인들이 물을 통해 배워야 하는 덕목을 이야기한 것은 생명 유지에 대한 1차원적 중요함만을 이야기한 것은 아닐 것이다. 물이 가진 덕목은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꾸준함에 대한 칭찬일 것이다.

 부모산에서 아사직전에 박춘무가 받은 계시는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해결점도 물로 찾았다고 볼 수 있다. 남북정상들이 백두산 천지에서 한라산 백록담의 물을 붓는 것은 단순히 물을 섞는 행동이 아닌, 모두가 하나가 돼도 이상하지 않다는 것을 물로써 보여주는 것이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