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과 장마가 다가온다

2024.06.19 15:39:28

이정균

시사평론가

전국 대부분 지방에 폭염 특보가 발령된 지난 18일 한 언론에 보도된 서울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주변 일대의 열화상 카메라 사진이 시선을 끌었다. 마치 단풍이 절정에 달한 가을의 설악산 가야동계곡이나 주전골을 보는 듯 붉게 타오르는 모습이다. 이날 기온이 얼마나 높은지 가히 짐작됐다. 같은 날 경북 경산에서는 한낮 기온이 36도를 기록한 폭염으로 인해 도로에 설치된 중앙분리대가 아스팔트 열기에 녹아 쓰러지는 일도 발생했다.

*** 40도 넘는 기후재난 예상

일찍 찾아온 폭염과 열대야에다 올 여름은 예년에 경험하지 못한 역대급 폭염과 많은 강수량이 예고됐다. 벌써 최고기온 36도를 예사로이 기록하니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도 않은 여름 폭염에 걱정이 크다. 최근 이어지는 폭염은 평년 기온인 25~29도보다 많게는 7도 높은 기록이다. 보통 우리나라 기온이 7월말에서 8월 초 사이에 가장 높은데 지금과 같은 추세면 이번 여름에 40도를 넘길 거라는 전망이다. 중동이나 아프리카에서나 있을 법한 뜨거운 40도가 곧 닥친다니 철저한 대비가 절실하다.

2024년은 인류최악의 여름이 될 전망이다. 기후변화로 지구촌이 펄 펄 끓어 전 세계 주요도시들이 40도가 넘는 살인적 폭염에 시달린다. 지난해가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는데 올해는 평년에 비해 일찍 무더위가 찾아오면서 사상 가장 극심한 더위가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기온이 1.5도 상승하면 가뭄 발생 빈도는 2배, 강수량은 1.5배, 열대 사이클론 발생률은 10% 증가하기 때문에 기후재난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한다.

폭염보다 더 문제는 장마다. 어제부터 제주도를 시작으로 장마에 접어들었는데 중부지방은 낮 최고기온이 36도에 육박하는 뜨거운 날씨가 이어지다가 24일 경 첫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장마 피해가 큰 탓에 올해 장마가 다가왔다는 예보에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장마 기간 강수량은 관측 사상 세 번째로 많았고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도 전년보다 2배나 많았다고 한다.

우리나라 장마의 특성인 고온다습으로 숨이 턱 턱 막히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찜통더위' '가마솥더위'를 맞게 된다. 최근 몇 년 사이 장마철에 내리는 비는 짧은 시간에 엄청난 양을 강하게 쏟아 붓는 '극한호우', 극한호우를 몰고 온 비구름이 빠르게 이동하며 동시다발적으로 곳곳에 폭우를 쏟는 '게릴라성호우' 양상을 보인다. 이같은 극한호우와 게릴라성호우가 해마다 증가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남기는데 올해에는 예년을 뛰어넘는 장맛비가 예상되어 심각성을 더한다.

기상청 기후평년값(1991~2020)에 따르면 전국 평균 연 강수량은 1천306.3㎜인데, 이중에 3분의 1 가량이 장마 기간 내리는 비이며 중부지방의 경우 평균 장마 강수량은 378.3㎜다. 이례적으로 작년에는 전국 평균 장마 강수량이 660.2㎜로 연평균의 절반을 기록했고, 청주지역에는 2023년 7월 13일에서 15일까지 단 3일 간 500㎜ 넘는 물폭탄이 쏟아졌다. 갈수록 예측이 불가하다는 예측만 가능한 기상이변이 속출할 것이다.

지난해 7월 전국을 할퀸 폭우가 충북지역에도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청주시 미호천교 공사 현장의 임시제방이 무너져 강물 범람으로 오송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어 1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오송지하차도 참사는 변명의 여지없는 인재(人災)라고 비판 받는다. 허술한 임시제방이 붕괴조짐을 보일 때부터 지하차도가 완전 침수되는 동안 고비 고비마다 적절한 안전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 지하차도에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신속한 조치만 취했어도 안타까운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으나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않았다. 다시는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재난관리 시스템 점검과 운영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 이상기후 시대 이미 도래

'삼년 가뭄에는 살아도 석달 장마에는 못 산다'는 속담이 '석달 장마에는 살아도 삼일 폭우에는 못 산다'로 바뀔 정도가 됐다. 기존의 수해예방 시설과 시스템, 마인드로는 감당할 수 없는 이상기후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 기후재난에 대처하는 제도와 구조에 근본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8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