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청 신청사 건립을 앞두고 이범석 청주시장이 시청 본관동 철거 의사를 강력하게 밝히면서 ‘존치’를 주장하는 시민사회단체 등과의 갈등이 일고 있다.
ⓒ김용수기자
[충북일보] 이범석 청주시장이 시청 본관동 철거 의사를 강력하게 밝히면서 철거여부를 놓고 갈등이 일고 있다.
이 시장은 '철거' 의지를 확고히 하고, 시민사회단체는 '존치' 입장을 내며 대립하는 모양새다.
이 시장 등 '철거론자'와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 '존치론자'는 △외관 및 배치 △경제적 효율성면에서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
외관·배치 면에서 이 시장 등 '철거론자'들은 △일본식 건축양식 모방 △4층 증축·내부구조 변경으로 인한 원형훼손 △다수의 비슷한 근대건축물 사례 등을 이유로 든다.
이 중 일본식 건축양식을 모방했다는 게 주된 이유로 지목된다. 시청 본관의 옥탑은 후지산, 로비 천정의 꽃무늬는 욱일기를 형상화했고 난간은 외부로 돌출된 우리나라 전통구조와는 다른 일본식 구조를 답습했다는 왜색 논란이 있다.
같은 건물을 바라보는 '존치론자'들의 시각은 다르다.
존치론자들은 본관이 청주시의 옛이름인 '주성(舟城)'을 상징하는 배 모양의 건축물이라고 설명한다. 4층으로 증축하기 이전의 3층 건물은 배 몸체가 부유하며 위로 솟아오른 옥탑 부분은 돛대로 나타난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었다. 또 수평선으로 비유되는 무심천은 본관의 층을 구분하는 수평 돌림띠와 난간선에 의해 더욱 강조되고, 돛대의 수직이미지와 상호 보완작용을 한다는 의미를 부여했다.
철거론자들은 '주성과 배'라는 의미 부여는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이다. 시청 본관 설계자인 강명구(1917~2000년) 건축사의 작품설명에 '주성'이나 '배'를 언급한 부분은 전혀 없어서다.
강씨는 "당시로서는 모든 관청건물, 초등학교 등 공관에서 운영하는 건물들의 좌우대칭형의 위압적인 외형에서 벗어나 관청건물의 좌우대칭적 중심강조를 없애고 주민이 친근감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외형을 주 테마로 한 최초의 관청건물을 시도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철거론자들은 경제적 효율성 면에서도 철거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본관을 철거할 경우 신청사 건물배치, 동선, 교통, 주차 등 전반적인 입지여건이 향상되고 업무 효율이 증가된다는 점을 든다. 본관을 철거할 경우 확보할 수 있는 면적은 2천700㎡, 주차장은 120면이다.
본관 구조보강과 리모델링을 할 경우 소요되는 비용이 34억 원이라는 점도 철거하는 편이 경제적이라는 반증이 된다.
존치론자들은 본관동의 가치는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무형의 가치라는 점을 내세운다.
본관을 철거하는 방향으로 신청사를 설계할 경우 100억 원 이상의 설계비와 사업지연에 따른 임대료가 추가로 들지만, 문화재 등록이 될 경우엔 구조보강 등 유지관리 비용 일부가 국비 지원이 되는 점도 존치의 이유로 지목된다.
문화재청이 지난 2015년 청주시청 본관을 '문화재등록검토대상'으로 선정한 점도 존치의 이유가 되고 있다.
청주시청 본관은 1965년 6월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천㎡로 건립됐다. 이후 1983년 9월 지상 4층 637㎡가 증축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하지만 근현대 공공행정시설 문화재 등록 검토대상으로 선정된 15개소 중 3개소는 이미 철거됐고, 2개소는 철거 예정으로 철거를 막을 수 있는 확실한 명분은 되지 못하고 있다. 철거된 곳은 △옛 전북도청(준공년도 1921년) △강원도 춘천시청사(1957년) △부산광역시 동래구청(1963년)이고, 철거 예정인 곳은 △경북 울진군 기성면사무소(1957) △대전광역시 중구청사(1960년)다.
다만 △경기도청사(1967년)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사무소(1957년)는 각각 문화재로 등록·관리되고 있어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범석 청주시장은 지난 6월 시장직 인수위원회를 출범하면서 '청주시 신청사 건립 TF팀'을 꾸렸다. TF팀은 전문가와 시민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신청사 건립 관련 의견을 제안할 예정이다.
/ 성홍규기자